메뉴 건너뛰기

녹색아카데미

금주 토요일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 참석하실 분들 이 글에 댓글 형식으로 신청을 해주세요.


행사 관련해 상세한 사항들 아래 설명드릴께요. 보시고 신청에 참고해 주세요.


<교통편과 걸리는 시간>

광덕산 환경교육센터를 잘 아는 봄날님이 교통편 안내를 더 자세히 해 줄 것으로 기대합니다만

천안역에서 내려서 600번 류의 버스를 타고 가면 천안역에서 대략 1시간 10~20분 사이로 들어갈 수 있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천안역까지는 아무래도 1호선 전철보다는 기차가 더 빠르겠죠?

  • 네이버 지도 서비스의 광덕산환경교육센터 검색 결과
    • http://map.naver.com/?dlevel=8&lat=36.7211645&lng=127.0803814&query=6rSR642V7IKwIO2ZmOqyveq1kOycoeyEvO2EsA%3D%3D&menu=location&stab=SITE_1%3B1&siteOrder=178156516&queryRank=1&mapMode=0&enc=b64
  • 네이버 지도 서비스의 교통편 안내
    • http://map.naver.com/?dlevel=7&lat=36.7439772&lng=127.1029514&slng=127.1464075&slat=36.8102496&elng=127.0527260&elat=36.6907290&pathType=1&dtPathType=0&menu=route&mapMode=0&sText=7LKc7JWI7Jet&eText=6rSR642V7IKw7ZmY6rK96rWQ7Jyh7IS87YSw&enc=b64
광덕산환경교육센터에 11시 반경까지 도착해서 주변 정리 겸 구경도 하고 점심도 드시면 가장 좋을 것 같은데요,
그러자면 천안역에 10시 전후로는 오셔야 할 것 같고요,
그러자면 또 서울에서 9시 이전에 길을 잡으셔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더 자세한 교통편 안내는 봄날님이 해주세요~.

<식사>
아마 서울서 길을 잡아 오시려면 시장한 채로 도착을 하게 되실텐데요,
점심 식사는 미리 김밥 등속을 장을 봐서 가볍게 먹었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저녁 식사는 토론회 마치고 아랫 동네로 내려가면 광덕사 주변이라 식당이 많다는군요.

<돌아가는 길과 숙박>
저녁 식사를 마치고 나면 아마 해지고 어둑한 시간일텐데요,
미리 천안역으로 돌아가는 대중교통편 시간을 잘 알아두고 식사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시간 여유가 있는 분은 광덕산 환경교육센터에서 하루 묵어가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
가족 규모의 4인용 방과 단체 규모의 14인용 방, 두 가지가 있는데요,
일단 어떨지 몰라서 14인용 방을 예약해 두었습니다.
숙박 신청하는 분들 숫자를 보아가면서 방을 결정하려고 합니다.
하룻밤 묵으면 다음날 광덕산 산행도 할 수 있고,
능선을 넘어서 맹사성 고택도 가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것도 역시 광덕산 환경교육센터에서 하룻밤 묵으면서 뭘 할 수 있을지
봄날님이 잘 설명해 주면 좋겠네요.

<토론회 준비>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토론회 준비겠죠.
늘 그렇지만 준비하실 수 있는 여유에 따라
  • 가벼운 에세이를 준비해주시거나 아니면 (분량으로 보아 A4 4~5장 정도의 글이면 어떨까요?)
  • 비교적 간단한 질문거리, 이야기거리를 준비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이 경우는 A4 반장~한장 정도?)
참가 신청하실 때 이야기거리의 주제나 제목과 함께 에세이를 준비해 주실 건지, 질문거리를 준비해 주실 건지도 적어주세요.
미리 수요일 정도까지 올려주시는 주제나 제목을 참고해서 순서를 짜보겠습니다.
금요일 오후 6시 정도까지 게시판에 글을 올려주시면 제가 인원수 맞게 출력을 해 가겠구요,
그 후라면 직접 출력을 해오셔야 하겠네요.

그래서 결론적으로 참가 신청을 하실 때
  1. 준비하려는 이야기 거리의 주제나 제목
  2. 에세이를 준비할 건지, 간단한 질문을 준비할 건지, 아니면 더 가볍게 오실 건지(^^;)
  3. 어떤 교통편(기차, 전철, 버스, 승용차..)으로 오실 건지, 시간 맞춰 함께 가자면 그러실 참인지
  4. 끝나고 바로 가실 건지, 하루 놀다 가실 건지
를 적어주시면 매우 감사하겠습니다~ ^^;

그럼, 공지와 안내가 또 많이 늦었습니다만 광덕산에서 이번 토요일 많이들 뵈어요~.
비도 안 오고 덥지도 않으면 얼마나 좋을까요?
별도 볼 수 있으면 좋겠고요..

- 시인처럼

IE001064109_STD.jpg make_1271434668043.jpg map.pn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 온생명 공부방 1호 [1] 이모작 2016.01.16 5439
18 8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온생명론작은토론회 2012 [25] file 눈사람 2012.07.25 15970
17 8월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 준비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눴으면 합니다. [9] 시인처럼 2012.06.25 12511
16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 신청과 준비할 이야기 거리 [25] 시인처럼 2011.03.17 17157
15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 4월 2일에 조촐하게 하려고 합니다. [8] 시인처럼 2011.03.17 15499
14 네 번째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도 재미있었습니다. [2] file 시인처럼 2010.09.10 16657
» 8월 28일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 참석, 여기에 신청해주세요. [22] file 시인처럼 2010.08.23 17314
12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 8월 28일(토) 광덕산환경교육센터입니다. file 시인처럼 2010.08.23 19076
11 이번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는 언제 할까요? 시인처럼 2010.07.09 17265
10 세 번째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 재미있게 잘 마쳤습니다. [7] file 시인처럼 2010.03.03 18401
9 2월 27일 아산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 참가신청, 여기에 해주세요. [24] file 시인처럼 2010.02.16 17064
8 세 번째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 2월 27일 아산에서 합니다. [3] file 시인처럼 2010.02.16 18407
7 홍동 에너지전환 찾아오는 길과 그 밖의 잡다한 정보 [6] file 시인처럼 2009.08.13 17804
6 15일에 함께 놓고 이야기할 글, 여기에 올려주세요. [3] 시인처럼 2009.08.13 17460
5 장회익(1998). 인식 주체와 과학의 인식적 구조. 과학철학, 1(1) 시인처럼 2009.08.05 19545
4 2008 겨울 <물질·생명·인간 - 그 통합적 이해의 가능성> 강좌의 강연록입니다. 시인처럼 2009.08.05 19447
3 8월 15일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 참가 신청, 여기서 해주세요. [23] file 시인처럼 2009.08.05 15848
2 두 번째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를 8월 15일 홍성에서 엽니다. [2] file 시인처럼 2009.08.04 19234
1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 첫 번째 시인처럼 2009.08.05 22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