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고가 죽지 않는 까닭"

Document URL : https://greenacademy.cafe24.com/xe/snowmay/textyle/16401
이야기 | Posted on March 28th, 2011 at 12:21 by 눈사람 | Modify

Lego.jpg 

레고 가지고 놀아본 적이 없어서 별로 친근감은 없지만, 이 만화를 보니 레고의 세계가 궁금해지네요. 살짝 웃는 듯한 저 입가미소, 떨어지는 레고를 내려다보는 2인의 표정이 참으로 압권입니다.

요즘엔 애들 있는 집엔 장난감 방이 있을 정도지만 우리 때야 어디 그랬습니까. 아닌가.. 쩝. 장난감 거의 없이 어린 시절을 보내서 그런지 이런 블럭장난감은 아쉬운 줄도 몰랐네요. 게다가 저거 언제 다 조립하나싶기도 하고.. ㅋㅋ 

제 경우엔 집 책꽂이 한쪽에 쳐박혀서 아무도 보지 않는 전집책들을 블럭으로 사용했지요. 하루에도 몇 번씩 뽑아다 이리저리 쌓아가며 집도 짓고 골목길도 만들고 놀았어요.

그리고 아주 중요한 또 한 가지는 포장박스! 내복박스, 해태니 롯데니 하는 데서 나오는 종합선물세트 박스도 일년에 두어 개 생기죠. 다이아몬드는 버리고 케이스만 챙기는 월E처럼 과자보다 박스가 더 반가웠다는. 그 큰 박스 안에 침실이며 거실, 부엌 따위를 만들며 놀았지요. 그때부터 박스 모으던 버릇은 아직도 못 버렸습니다. 평생 갈듯...

(레고 관련 블로그 기사는 이리로.  http://blog.ohmynews.com/partisan69/170680)



Tagged :
 

Comments : 3

Author happysong
2011.03.28 at 21:31:19
댓글

저는 사과상자(나무궤짝) 3개 모았어요.

채소심으면 너무 폼날 것 같아서...

요즈음 열심히 사포질 중입니다.

내일 사진 올려놓을까요?

Author happysong
2011.03.28 at 21:33:46
댓글

집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면서 가지고 있는 종이상자 있으면 눈사람님 드려야겠당... (떠넘기기!)

Author 눈사람
2011.03.29 at 18:47:42
댓글 | |

종이상자 대환영임다. 감사감사~ ^^

사과상자에 사포질까지나.. 사진도 보여주세요~

도서관

Document URL : https://greenacademy.cafe24.com/xe/snowmay/textyle/16293
사진 | Posted on March 24th, 2011 at 11:27 by 눈사람 | Modify

JD.jpg 

분위기 참 좋죠?! 정독도서관입니다. 저녁시간, 새벽 아님. 

학교를 떠나오니 책 빌려보기가 만만치가 않네요. 책도 많고 분위기도 좋은 정독도서관을 가끔 다니는데요. 그저께는 정독에서 빌린 책을 종이가방에 담아들고 버스를 기다리는데, 갑자기 눈앞에 어떤 여성분께서 함빡 웃으면서 뭔가 제게 말을 하는 거예요. 

이어폰을 끼고 있어서 무슨 말인지도 못알아들은 데다가 0.5초 정도 뚫어지고 쳐다봤지만 아는 사람도 아니고. 곧 이어폰을 뽑고, "네?" 했더니, "정독도서관이 아직 있네요~ 고등학교 때 많이 갔는데~"하면서 너무 좋아하시더군요. 

고등학교 때 정독도서관에서 무슨 좋은 일이 있었던걸까요. 우울하게 공부만 했다면, 도서관 이름이 찍힌 책을 보고 그렇게 반가워하진 않았겠죠? ^^



Tagged :
 

Comments : 2

Author 自硏 自然
2011.03.28 at 23:45:51
댓글 | |

저도 고등학교에서 정독도서관이 가까웠기 때문에 자주 가곤 했습니다. 하지만 반가운 느낌은 아니구요. 그 앞에 있는 연극도 하고 영화도 상영하는 공간(이름이 기억나지 않네요)이라든가, 그 근처의 그럴싸한 카페들이 더 반가운 기억입니다.

그러고 보니 저는 고등학교 때 "우울하게 공부만 했"던 사람이었나 봅니다. ㅠㅠ

Author 눈사람
2011.03.29 at 15:43:31
댓글

씨네코드선재랍니다.

그리고 도서관 옆으로는 골목골목 찻집이며 밥집이 파고들고 있죠. 비싸고 폼나는.

저는 고등학교 때, 꽤나 우울했지만 공부는 안한 사람입니다. ^^;;

춘천

Document URL : https://greenacademy.cafe24.com/xe/snowmay/textyle/16225
사진 | Posted on March 23rd, 2011 at 15:14 by 눈사람 | Modify

춘천 다녀왔지요. 같이 놀 친구도 하나 있고, 내가 정말 길치인가 확인도 해볼겸해서 혼자 갔습니다! 춘천역에 내려서 무작정 아무 버스나 타고 가다가 무작정 내렸는데, 동네가 휑한 것이 밥집도 없고...

정처없이 걷다가 중국집 간판 발견! 조금 걱정을 하며 골목을 돌았는데...

cc2.jpg 


그 작은 골목 안에 이렇게 어마어마한 중국집이..

일단 들어갔습니다. 배가 고파서.

중국집에서 짜장면 외에는 별로 시켜본 게 없어서, 이날도 역시나 당연히 짜장면!이라고 생각하면서 자리에 앉는데, 옆자리에 앉은 세 사람이 모두 짬뽕을 먹는 게 아니겠어요.

흠... 짜장면이 맛있었다면 최소한 한 사람은 짜장면을 시켰을 것이다, 즉 짜장면이 맛이 없거나 짬뽕이 아주 맛있거나, 그것도 아니면 세 사람이 안친하거나, 셋 중의 하나가 틀림없다,

그렇다면 짬뽕을 시켜야 실패를 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렸지요. 그래서...

cc3.jpg


이렇게 짬뽕!

바지락칼국수 2인 시키면 나올 법한 큰 대접에 한가득 벌건 짬뽕!!

이마에 땀 훔쳐가며 다 먹었습니다, 짬뽕!!!

cc1.jpg 


친구는 저녁 때 만나기로 하고, 그 전에 혼자 춘천유람을 좀 하려고 짬뽕 국물 튀겨가며 지도를 뒤졌어요.

어디로 갈까... 가고 싶은 데도 별로 없고, 보고 싶은 것도 별로 없고.. 뭔가 멀리 버스를 타고 좀 가볼까...하는데, 소양댐과 청평사가 눈에 띄였습니다. 그래, 소양댐 혹은 청평사까지 가보자. 근데, 지도를 아무리 봐도 그리 가는 버스 번호도 뭐도 아무것도 없는 거에요. 무슨 지도가.. 

하튼 식당을 나와 근처 정류소 표지판에 적힌 버스 번호를 살피는데, 거기 버젓이 소양댐 가는 버스가 있는 게 아닙니까? 20분 정도 기다렸지만, 하여간 간단히 버스를 타고 소양댐으로 갔습니다. 이렇게~

여기는 소양댐 아래쪽이고.

(사실 버스기사아저씨한테 청평사 가는 버스는 몇 번이냐고 물었는데... 다 아시겠지만, 청평사는 소양호에서 배 타고 들어가는 거라고 하더군요.. -,-; 소양댐가는 버스 타고 기사아저씨한테 또 물었지요. 왜 청평사 가는 버스가 없냐고. 아저씨의 대답, 경사가 아주 심해서 버스 다니기가 힘들다고...)

cc7.jpg


여기가 소양댐. 영화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에 나온 그 꼬불꼬불 산길 같기도 하고...

저 배가 곧 산으로 올라갈 것 같지요?!

cc5.jpg 


누가 소양호 아니랠까봐 이렇게 소양호 이름표도 있습니다. 1973년산.

cc4.jpg 


여기가 소양호. 바람부는 소양호.

유람 나온 사람들 참 많더군요. 춘천까지 가는 전철도 만원, 소양댐 가는 버스도 만원, 춘천 시내 곳곳에 소양댐 가는 안내판...

기차가 왜 없어졌을까요. 올 때는 춘천 종점에서 타느라고 앉아서 왔지만, 갈 때는 물정 모르고 방심하고 탔다가 2시간을 서서 가느라고 척추가 지금 고생 중입니다.

춘천에 전철 타고 다녀오시려면, 꼭 갈 때는 상봉에서 올 때는 춘천역에서 타세요. 서서 오다가는 허리 나갑니다.


cc6.jpg 


뭔가 여행기를 쓴 듯한 기분~ ^^

여행을 하면서 여행을 왜 하나 생각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그냥 되는대로 생각 좀 하고, 또 춘천에서 서울까지 저를 만나러 와주었던 친구에게 답방 차원으로다가 갔지요. 올린 소득은, 어쩌면 제가 길치가 아닐 지도 모르겠다는 희망을 발견했다는 것, 그리고 지하철에서는 책이 잘 읽힌다는 것을 다시 확인했습니다.

춘천 오가는 전철에서 읽으려고 오르테가의 [대중의 반역]을 들고 갔는데, 꽤 읽었어요.물론 뤼뷰는 절대 못하겠고, 두번 이상 읽게 되겠구나 싶었어요. 어렵기도 하고, 팍! 꽂히기도 하고. 오르테가의  '반역하는 대중'과 '무식한 식자'인 과학기술자 얘기는 일차적으로 1930년 전후 시대에 대한 것이겠지만, 오히려 요즘 상황에 더 잘 들어맞는 것 같아요.

사실 그럴 수 밖에 없는 게, 문명은 갈수록 더 발달해서 생활은 더 편해지고 과학기술도 더 첨단화, 세분화돼서 개개 과학자들의 연구분야는 더 좁아지니까 당연한 결과겠지요.

Tagged :
 

Comments : 4

Author happysong
2011.03.28 at 21:28:35
댓글

짬뽕은 맛있었나요?

짬뽕!

내가 제일 좋아하는 음식!

 

이음책방근처 24시 짬뽕인가요.... 그 집에 한번 가봐야할텐데ㅇ요..

 

지금까지 먹어본 것 중 최고는 외래향 하얀짬뽕!

Author 自硏 自然
2011.03.28 at 23:41:44
댓글

청평사를 보면... 마음이 서글퍼집니다. 오랜, 어쩌면 빛바랜 추억 때문이죠.

춘천은 참 마음을 설레게 하는 곳이었죠. 오래 전에는요...^^

Author 눈사람
2011.03.29 at 15:33:43
댓글

짬뽕, 맛있었습니다. 좀 맵긴 했지만..

이음 옆에는 아마 홍콩반점이었을걸요? 들어가기 매우 불안한.. ㅋㅋ

춘천은 몇 년 전에 자전거 들고 간 게 처음이었는데,

이번에 가보니 그새 또 많이 삭막해졌더라구요. 남춘천역도 어마어마하게 커졌고.

남춘천역 근처 아파트촌은 서울 근교 신도시와 다를 바가 없더군요.

Author 自硏 自然
2011.03.30 at 11:41:39
댓글 | |

작년 6월에 홍콩에 난생 처음 가 보았습니다. 

 

신도시의 느낌, 삭막한 느낌, 외로움과 쓸쓸함, 어마어마하게 큰 느낌. 외래향 하얀짬뽕은 몰라도 이음 옆의 홍콩반점을 밖에서 보았을 때 별로 들어가고 싶지 않았던 느낌. 그런 것이 연결됩니다.

 

부산에서 몇 군데를 가 봤는데, (가령 망미동 수영강 옆 내지 센텀시티가 보이는 어딘가), 바다와 산, 산비탈에 빼곡한 고층아파트 때문인지, 홍콩과 부산이 참 많이 닮아 있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 첫 페이지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끝 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