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녹색아카데미

미리미리 연락을 잘 돌리지 못했더니 오늘은 몇 분 못 만났네요.

해피송, 봄날, 시인처럼 이렇게 셋이 모여서 앞으로의 공부 계획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나눈 이야기 간단히 정리해 볼께요.

  1. 여름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는 언제?
    • 일단 잠정적으로 7월 말쯤 (7월 31일 토요일 전후)
    • 하지만 휴가철이란 점은 어떻게 고려해야 할지 두고 고민하기로
  2. 토론회 주제 구성 / 책 내게 되면 책 구성은?
    • 일단 "왜 장회익과 마뚜라나를 같이 놓고 보려고 하는가?"에 대해서 더 깊은 고민과 토론 필요하겠다. 만약 책을 내게 되면 이 점을 분명히 이야기하여 독자를 설득해야 할 테니.
    • 위의 토론하면서 겨울 토론회에서 자기가 썼던 글을 더 발전시켜 갈 건지, 새로 주제를 잡을 건지 고민해 보자.
    • 원하는 주제를 자유롭게 택해 준비할 수도 있고, 필요한 구성을 먼저 생각한다면 나눠 맡을 수도 있겠다.
      • 가령, 딱딱하게 한다면 아래와 같은 구성도 있을 듯...
        • 장회익의 물질, 생명, 인간 이야기 전반 정리
        • 마뚜라나의 생명, 인지, 인간 이야기 전반 정리
        • 내가 본 마뚜라나 (장회익)
        • [내가 본 장회익 (마뚜라나)] - 가능할까? ^^;
        • 생명 이론으로서 장회익 이론과 마뚜라나 이론
        • 인지 이론으로서 장회익 이론과 마뚜라나 이론
        • 인간 이론으로서 장회익 이론과 마뚜라나 이론
        • 윤리 이론으로서 장회익 이론과 마뚜라나 이론
        • ...
  3. 여름 토론회까지 온생명론 연구모임 운영
    • 7월말까지로 보면 앞으로 6~8회 정도 모임 가질 수 있다.
    • 함께 마뚜라나에 대해서 공부하고 논의하는 것은 필요하다.
    • 하지만 단 하루의 토론회 때 각각의 주제에 대해서 충분히 깊게 이야기를 나누지 못하니까 토론회에서 발표할 사람들의 글을 연구모임에서 앞서 다 다루고 검토해야 하겠다.
    • 모임마다 마뚜라나 글 읽고 공부 + 우리 글 검토 병행? 아니면 분리?
      • 다 하려면 두 시간 정도 모임에선 무리가 많이 되니
      • 일단 7월까지 모임 전반의 2~3회는 마뚜라나 관련 글을 함께 읽고 공부하는 데 쓰고,
      • 모임 후반의 4~5회는 서로 글 발표하고 검토하는 데 쓰는 것으로 생각해 보자.
  4. 마뚜라나 관련 글은 뭘 볼까?
    • 2009년 마뚜라나의 영문 신간이 나왔던데 다음 모임 때 검토해 보자.
      • Maturana, H. R. & Verden-Zoller, G. (2009). The Origins of Humanness in the Biology of Love. Imprint Academic.
      • http://www.amazon.com/Origins-Humanness-Biology-Love/dp/1845400887
      • 시인처럼이 다음 시간에 들고 오기로 함.
    • 마뚜라나 자신이 자기 이론을 잘 정리한 글들 중 중요한 것 골라 검토.
    • 마뚜라나의 이론에 대해 논의한 다른 사람들의 글 중 중요한 것 골라 검토. 이게 마뚜라나 글 읽는 것 이상으로 중요할 수...
  5. 앞으로 온생명론 연구모임 일정?
    • 격주 금요일 오후 6시 반 길담서원으로 잠정 결정.
    • 4월 16일(금), 4월 30일(금), 5월 14일(금)
  6. 다음 모임(4월 16일) 할 것
    • 마뚜라나 자신의 글 중 자기 이론 전반 잘 소개한 글 읽고 이론 더 이해해 보기
      • Maturana, H. R. (2002). Autopoiesis, Structural Coupling and Cognition. Cybernetics & Human Knowing, 9(3-4). pp. 5-34.
    • 다른 사람의 글 중 마뚜라나의 autopoiesis 개념 정리, 비평한 글 읽고 폭을 넓혀 생각해 보기 (잘 된 글인지 어떤지는 아직 잘 모르지만 일단 손에 잡히는대로 아래 것들 중 하나나 두 개 정도 다뤄보기)
      • Luisi, P. L. (2003). Autopoiesis: a review and a reappraisal. Naturwissenschaften, 90. pp. 49–59.
      • Mingers, J. (1989). An Introduction to Autopoiesis - Implications and Applications. Systems Practice, 2(2). pp. 159-180.
    • 발제
      • Maturana(2002) 중 1. Autopoiesis 부분 - 봄날
      • Maturana(2002) 중 2. Structural Coupling 부분 - 해피송
      • Maturana(2002) 중 3. Cognition + 4. Epistemology and conclusions 부분 - 시인처럼
      • Luisi(2003) - 그러게요
      • Mingers(1989) - 自然
      • 모임 시간이 두 시간 남짓 뿐이니 발제는 10~15분 정도 되게 압축적으로 준비해 오시자구요~. 발제 안 맡은 사람이 안 읽고 와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게 준비해주심 최고~ ^^;
    • "왜 장회익과 마뚜라나를 같이 놓고 보려고 하는가?" 이야기거리 준비해 오기
    • 논문은 이메일로 보내드렸습니당~.
그럼, 4월 16일, 오랜만에 많이 모여서 씨게 공부 좀 해 봅시다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9 선물의 경제(학) [7] 自硏 自然 2011.08.03 11305
78 7월 12일 모임 [13] 自硏 自然 2011.07.12 11563
77 7월 14일 or 15일 온생명 공부모임및 6/24모임후기(날짜 미확정) [13] 박인구 2011.06.25 11183
76 다음 온생명론공부모임-6/23(목) !!! [19] 눈사람 2011.06.14 10071
75 6월 3일(금) 모임 "비랑의 '자아감'은 어떤 '순서'에 의해서 획득되는가?" "온생명의 주체됨" [18] 自硏 自然 2011.05.23 14133
74 2011-5-13 모임후기 [8] happysong 2011.05.19 9122
73 다음 모임은 5월 13일(금) 7시 반 대학로.. [6] 시인처럼 2011.05.08 10947
72 4월 29일 오후 7시 이음책방 [7] 自硏 自然 2011.04.27 9163
71 4월 15일 7시 이음책방 [8] 自硏 自然 2011.04.12 9332
70 온생명론 연구모임 이번엔 4월 9일(토) 12시 [6] 시인처럼 2011.04.06 11404
69 Mind in Life 10장 후기 [8] happysong 2011.03.16 10259
68 Mind in Life 13차 후기 [11] happysong 2011.03.05 8943
67 2월 마지막 모임 - 2/25(금) 이음책방 [7] 눈사람 2011.02.19 10940
66 이번주 온생명론모임-2/17(목) [3] 눈사람 2011.02.15 10677
65 Mind in life 12차 후기 [2] happysong 2011.01.31 11158
64 온생명론공부모임(1/21/금) - 장소? [12] 눈사람 2011.01.18 10600
63 생명 속의 마음 열한번째 모임 후기 happysong 2011.01.10 12700
62 생명 속의 마음 열 한 번째 모임 [9] 自然 2010.12.17 10672
61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를 위하여 [5] 自然 2010.12.16 10323
60 Mind in Life 열 번째 모임 [6] 自然 2010.12.11 11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