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아카데미에 대한 간략한 소개
녹색아카데미는 2004년도에 시작되었습니다. 처음에는 녹색문명을 탐구하는 대학원 수준의 연구·교육 ‘기관’이 되려고 하였습니다. 충남 금산에서 2004년 여름과 겨울 두 차례, 일종의 실험적 캠프를 열었던 것은 이 구상을 위한 단추 꿰기였습니다. 하지만 무리한 구상이었음을 이내 깨닫고 방향을 바꾸어 2005년부터 녹색아카데미는 ‘모임’이 되려 하였습니다.
2005년 별 것 없이 대강 꾸려놓은 홈페이지를 통해서 공부모임을 제안했습니다. 녹색문명에 대해 공부하는 작은 공부모임을 꾸리려고 하니 관심있는 사람 모여보자고 공지를 올렸죠. 신기하게도 꽤 여러 분이 모였습니다. 대부분 처음 만나는 분들이었습니다. 사실 인터넷 상의 작은 공지만 가지고 어떻게 십여 명 가까운 사람이 모일 수 있었는지 아직도 신기할 따름입니다. ‘녹색’에 대한 ‘모임’이 고픈 사람들이 적지 않나보다 짐작만 하고 넘어갔지만요. 그렇게 한 달에 한 번, ‘녹색문명공부모임’이 시작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찻집에서 모임을 가졌습니다. ‘녹색’에 관한 책을 읽고 이야기를 나눴죠. 뒤에는 부암동에 공간을 마련해서 모임을 가졌습니다. 부암동 공부방에서 4년 넘게 지내는 동안 공부모임의 방식과 관심은 여러 가지로 바뀌어 왔습니다. 독서모임처럼 운영되다가 연구모임을 시도해 보기도 하고 세미나가 되었다가 대학원 콜로키움 같은 성격을 띤 적도 있었던 것 같습니다. 주제 역시 과학철학이나 철학적 문제에 기울었던 때도 있었고, 환경오염 문제에 천착했다 생명 문제로 옮겨갔다가 관심사에 따라 지그재그로 흘러왔습니다.
그러다가 2008년 삼성 허베이스피리트호 석유 유출 사건을 계기로 ‘녹색’의 문제에 대한 초점을 분명히 하기 시작했습니다. 2008년에 석유 정점 문제를 다룬 뒤로 2009년까지는 석유가 현대의 우리 삶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를 이해해보려고 애썼습니다. 모든 발표를 하나의 주제 틀로 맞추어 가는 것이 어렵기도 했지만 에너지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된 것도 같습니다.
2010년부터는 부암동 공부방을 정리하고 길담서원에서 모임을 갖기 시작했습니다. 2010년에도 큰 주제로 우리들이 함께, 또는 각자 생각하는 ‘녹색’이라고 하는 것이 무엇인지 정리해보자고 틀을 정하고 모임을 꾸려보려 했지요. 2011년에는 좀더 모임을 가볍게 꾸리기 위해서 공통의 주제 없이 ‘녹색’이라는 큰 범주 아래서 자유롭게 주제를 잡아 돌아가면서 매달 모임을 책임지는 방식으로 모임을 했습니다. 2012년에도 마찬가지로 우리 모임에 오는 분들이 자유롭게 주제를 잡아 자유로운 형식으로 매달 발표를 하면서 모임을 운영하려고 합니다.
2012년 녹색문명공부모임
1월 - 이모작: “<글로벌 슬럼프 - 위기와 저항의 글로벌 정치경제 이야기>에 대한 이야기”
2011년 녹색문명공부모임
- 1월 - 봄날: “투쟁이 시작되는 장소, 팔당은 에코토피아”
- 2월 - 김용란: “구제역, 조류독감 그리고 소비자 인간” - Lain 초청
- 3월 - 박인구: “녹색아카데미와 그 도덕성”
- 4월 - 자연, 눈사람, 해피쏭: “핵발전(원전)에 관해 생각해 보기”
- 5월 - 시인처럼: “파시브하우스와 원자력발전”
- 6월 - 해피쏭: “스콧 니어링의 조화로운 삶 이야기”
- 7월 - 눈사람: “<Small is Possible> 이야기”
- 8월 - 산지기: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과학' 강의 계획 짜기”
- 9월 - 자연: “<삶과 온생명>에 관하여”
- 10월 - 강신주: “온생명 사상의 가능성과 한계” - 이모작 초청
- 11월 - 시인처럼: "지금이 긴 터널의 시작이라면 우리는 무슨 공부를 해야 할까?"
- 12월 - "한 해 공부 되돌아보고 새해 계획 잡기"
2010년 녹색문명공부모임 <‘녹색’에 대하여>
- 1월 - 자연 - “녹색과 과학기술: 전기자동차 이야기”
- 2월 - 녹스 - “지구 온난화 - 기후변화의 정치학”
- 3월 - 시인처럼 - “먹을거리와 녹색: 현대 농업의 문제점과 대안적 아이디어”
- 4월 - 해피쏭 - “간디와 녹색”
- 5월 - 봄날 - “기후변화 교육과 녹색”
- 6월 - 시인처럼 - “고등교육과 녹색: ‘녹색’의 문제의식으로 본 현 고등교육의 문제점과 대안적 모색들”
- 7월 - 수수한 - “‘녹색 없는 세계’ 백룡동굴 이야기: 동굴인문학 발굴 서설”
- 8월 - 오솔길 - “과학과 메타과학 20년, 변한 것과 변하지 않은 것”
- 9월 - 시인처럼 - “소비와 녹색: 나는 삼성냉장고를 사도 되는가?”
- 10월 - 來人 - “총균쇠를 통해 되짚어 보는 문명사와 미래의 ‘녹색문명’에 관해…”
- 11월 - 김주희 - “소비와 녹색 2: 대도시에서 덜 벌고 덜 쓰며 살 수 있을까?”
- 12월 - 1년을 돌아보고 내년을 계획하는 시간
2009년 녹색문명공부모임 <삶, 석유 이전과 이후>
- 1월 - 황: “고기잡이, 석유 이전과 이후”
- 2월 - 시인처럼: “난방, 석유 이전과 이후”
- 3월 - 시인처럼: “화장(火葬), 석유 이전과 이후”, 황: “석유를 안 쓰는 고기잡이 - Artisan Fishing”, 그러게요: “의류, 석유 이전과 이후” 각기 간단한 발표
- 4월 - 자연: “의료, 석유 이전과 이후”, 來人: “건축자재: 석유 이전과 이후”
- 5월 - 그러게요, 봄날: “의생활, 석유 이전과 이후”
- 6월 - 녹스: “부엌살림, 석유 이전과 이후” - 부엌의 플라스틱 용기들
- 7월 - 김종아: “부엌 연료(취사연료), 석유 이전과 이후”
- 8월 - 최도현: “기후, 석유 이전과 이후” - 기후변화와 탄소배출권거래제 등 그에 대한 대응들
- 9월 - 민슉슉: “여행, 석유 이전과 이후”
- 10월 - ‘삶, 석유 이전과 이후’ 정리 1
- 11월 - ‘삶, 석유 이전과 이후’ 정리 2
- 12월 - 모두: “내가 생각하는 녹색”
2008년 녹색문명공부모임 <석유와 삶>
- 1월 - 모두 조사: “석유 유출(Oil Spill)” : 2007년 삼성-허베이스피리트호 석유유출 사고 기본 사항(고리), 석유유출이 자연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그러게요), 태안현장 답사 후기(황), 단일선체와 이중선체(장영록), 신문 사설의 논조(시인처럼) 등
- 2월 - 모두 조사: “석유 유출(Oil Spill)” : 석유유출에 관한 통계 조사(시인처럼), 석유유출로 인한 환경 파괴가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평가 방법에 대한 집단 간의 차이(황), 삼성-허베이스피리트호 사건에 관한 <참여사회> 기사들 소개(그러게요), 태안 현장의 이야기(오송이) 등
- 3월 - 시인처럼 - “홍성 시범 패시브하우스 건축 과정” : 에너지전환의 시범 패시브하우스 건축과정 소개
- 4월 - “A Crude Awakening: The Oil Crash” 영화 상영 : 석유 정점론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감상
- 5월 - 그러게요: “석유 정점” - 석유 정점 이론 소개와 예측, 전망
- 6월 - 백두대간 - “석유와 핵에너지” : 원자력 에너지와 핵융합 에너지에 대해 소개, 문제점 고찰
- 7월 - 시인처럼 - “석유와 인구” : 석유 소비와 인구 증가의 관계 및 석유 정점이 인구 문제에 미칠 영향
- 8월 - 녹스 - “석유와 과학기술”
- 9월 - 민슉슉 - “석유와 민수 (부제: 석유와 원자핵공학)” : 자신이 원자핵공학을 지망하였다가 문제를 느끼고 전공을 바꾸기까지 깨달았던 원자핵공학의 문제점
- 10월 - 봄날 - “석유와 음식” : 석유와 식량생산, 농업, 음식 등의 관계 다룸
- 11월 - 來人 - “석유와 태양에너지” : 태양광 기술과 산업, 보급 현황 등에 대해 소개
- 12월 - 自然 - “석유와 과학의 역사” : 서구와 중국의 고문헌에 등장하는 석유 관련한 기록 소개와 장자(莊子)에 등장하는 ‘기심(機心)’에 관한 구절을 통해 석유 이용의 문제 고찰
2007년 녹색문명공부모임
- 1월 - 용산실험마을 연구모임 (남경욱, 김남수, 이유진, 김재영): “여러 나라의 반환 (미)군기지, 어떠한 논의 과정을 거쳐 어떻게 재활용하고 있나?”
- 2월 - 최우석, 송인옥, 김재영: “온생명론이 말하는 바는 대체 무엇일가? 그리고 그것은 나에게, 우리에게 어떤 의미가 되는가?” - <삶과 온생명>, <온생명에 대하여 - 장회익의 온생명과 그 비판자들> 토론
- 3월 - 김재영, 전대호: "동서양의 학문 세계, 어떻게 서로 다른가? - 대인(對人), 대물(對物), 대생(對生) 지식으로 지식의 기본 성격을 나눠볼 수 있을까?" - <삶과 온생명> 토론
- 4월 - 권정희, 최우석, 김재영: "'삶 중심' 학문, 우리가 새롭게 추구해 나가야 할 학문의 길인가?" - 「’삶 중심’ 학문의 복원을 위하여」, 「동서양 학문의 인식구도적 특징」 토론
- 5월 - 남경욱, 김재영: "무엇을 위한 앎인가?" - <진실을 배반한 과학자들> 발췌와 토론
- 6월 - 스피노자 공부모임 (황승미, 최우석, 전대호, 김정현): “스피노자 공부하니 뭐가 좋던데?”- 스피노자 이론 소개와 <에티카> 토론
- 7월 - 황승미, 최우석, 김재영: "생명의 자기 이해? 인식은 어떻게 생기나?” - 문지문화원 사이 석학특강 장회익 선생님 강의 “생명의 자기이해”에 대해서
- 8월 - 김종아, 양기문: "느낌과 정서는 뇌, 즉 물질의 한 측면일까?" - <스피노자의 뇌> 발제와 토론
- 9월 - 김재영, 전대호: "슈뢰딩거는 정신과 물질의 관계를 어떻게 보았을까?" - <생명이란 무엇인가 · 정신과 물질> 발제와 토론
- 10월 - 송인옥: “우주와 생명 - 천문학자가 본 생명” - <우주와 생명> 발제와 토론
- 11월 - 김재영, 황승미, 최우석: "인간의 정신과 문화는 생물학적으로 결정되는가?" - <이기적 유전자>, <확장된 표현형> 발제와 토론
- 12월 - 황승미: "DNA와 유전자에 관한 생물학계의 발상은 어떻게 이데올로기로 작동하는가?" - <DNA 독트린> 발제와 토론
2006년 녹색문명공부모임
- <1월 15일>
- 남경욱 발표 "서울지역 도시화에 따른 토양오염" + 환경오염의 심각성 보여주는 공동 프로젝트 제안
- 김남수 발표 "자아의 확대와 온생명의 의식"
- 김재영 발표 "현대과학의 존재론적 토대 : 극대, 극미의 세계, 그리고 생명"
- <2월 19일>
- 양기문 발표 "환경포인트제도"
- 최우석 발표 "교육의 발견 : 영화 <매트릭스>는 교육영화다"
- <3월 19일>
- 이종민 발표 "기포드 핀쇼(Gifford Pinchot)의 체계적 산림관리와 산림학의 전문직업화"
- 정명희 발표 "한국(인천)의 지방의제 21(Agenda 21)의 실천에 대해서"
- <4월 16일>
- 김정지현 발표 "자급적 관점에서 보는 녹색가게운동의 전망"
- 임태훈 발표 "숲의 보전과 문화"
- 녹색문명 공부모임에 대한 평가
- <5월 21일>
- 최우석 발표 "환경교육 연구와 관련해 갖게 된 최근의 의문 몇 가지들"
- 남경욱 발표 "아빠가 말하는 출산 경험"
- <6월 18일>
- 이반 일리치의 <병원이 병을 낳는다(Medical Nemesis)> 읽고 이야기 나누기
- <생태도시 아바나의 탄생> 읽고 이야기 나누기 + 남경욱 제안 "용산미군기지 녹색문명 시범단지 조성 프로젝트"
- <7월 16일>
- 용산실험마을 연구모임 발표 "용산 녹색실험마을 프로젝트 1차 보고"
- 양기문 발표 "외식문화의 근본적 문제들에 대하여"
- <8월 20일>
- 전대호 발표 "88학번 물리학도가 만난 88학번 헤겔"
- 정명희 발표 "하천 복원의 동향"
1월 - 이모작: “<글로벌 슬럼프 - 위기와 저항의 글로벌 정치경제 이야기>에 대한 이야기”
- 남경욱 발표 "서울지역 도시화에 따른 토양오염" + 환경오염의 심각성 보여주는 공동 프로젝트 제안
- 김남수 발표 "자아의 확대와 온생명의 의식"
- 김재영 발표 "현대과학의 존재론적 토대 : 극대, 극미의 세계, 그리고 생명"
- 양기문 발표 "환경포인트제도"
- 최우석 발표 "교육의 발견 : 영화 <매트릭스>는 교육영화다"
- 이종민 발표 "기포드 핀쇼(Gifford Pinchot)의 체계적 산림관리와 산림학의 전문직업화"
- 정명희 발표 "한국(인천)의 지방의제 21(Agenda 21)의 실천에 대해서"
- 김정지현 발표 "자급적 관점에서 보는 녹색가게운동의 전망"
- 임태훈 발표 "숲의 보전과 문화"
- 녹색문명 공부모임에 대한 평가
- 최우석 발표 "환경교육 연구와 관련해 갖게 된 최근의 의문 몇 가지들"
- 남경욱 발표 "아빠가 말하는 출산 경험"
- 이반 일리치의 <병원이 병을 낳는다(Medical Nemesis)> 읽고 이야기 나누기
- <생태도시 아바나의 탄생> 읽고 이야기 나누기 + 남경욱 제안 "용산미군기지 녹색문명 시범단지 조성 프로젝트"
- 용산실험마을 연구모임 발표 "용산 녹색실험마을 프로젝트 1차 보고"
- 양기문 발표 "외식문화의 근본적 문제들에 대하여"
- 전대호 발표 "88학번 물리학도가 만난 88학번 헤겔"
- 정명희 발표 "하천 복원의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