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적 진화는 잠시 중단합니다.
2009.03.17 00:47
우선 오늘 일년간 끌어왔던 창조적 진화강독을 일단락 짖는 걸로 구성원들끼리 합의를 했습니다. 책은 다 읽지 못했지만, 구성원 스스로가 베르그송의 읽는데 일정한 한계에 닿음을 느꼈고 이런 식으로 더 읽어 나가는 건 무리가 아닌가 하는 생각에 창조적 휴식기간을 가지기로 했습니다. 박홍규 선생이 말했다 시피 베르그송은 불과 30세에 당시 유럽의 지성사적 성과들을 전부 아우르면서 자신의 형이상학적 결과물인 “시론”을 쓴 진정 한 천재였습니다. 창조적 진화만 하더라도 그런 형이상학적 결과의 생명으로의 확장이기 때문에 과학적 식견도 있어야 할 뿐 아니라 서구 존재론사(특히 플라톤과 아리스토틀 중심으로)를 어느 정도 알고 있어야 나름 베르그송의 논의가 의미를 더했을 텐데 그럴 수가 없었습니다. 베르그송은 우리가 가진 시간과 노력이상의 것을 요구했기 때문입니다. 개인적으로도 읽으면 읽을수록 점점 어려워지는 내용을 대하면서 이거 보통 공사가 아니구나. 라는 낭패감에 빠질 때가 한 두 번이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이미 베르그송을 통해 좋은 것, 즉 새로운 시야가 조금씩 열리는 경험을 하면서 이것을 버릴 수도 없는 노릇이어서 이것은 향후 4-5년의 작업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요즘 내 머릿속에는 영어단어들도 꽤 유영하고 다니지만 존재론의 귀퉁이들도 조금씩 떠돌고 있습니다. 과연 우리가 “있다”라고 하는 것과 “없다”라고 하는 것은 뭘까? 이것은 존재와 무로 말할 수 있을 텐데, 창조적 진화에서 베르그송은 이 질문에 대한 흥미로운 대답을 하고 있습니다. “무”는 없다, 즉 “없는 것”은 없다. 우리는 단지 우리가 관심 가지는 대상이 그 자리에 없음에 대한 실망을 그 말로 표현하고 있다고 말합니다. 베르그송에게는 천지에 “있는 것”뿐이 없습니다(?). 이러한 사유는 그 이후 유럽의 지성계에 큰 반향을 일으켰을 것입니다. 이유는 모르지만 우리는 부지불식간에 “무”를 상정하고 경거망동합니다. “원주사회에는 사회체제라 부르는 것이 ‘없어’라는 편견을 가지고 유럽인들은 얼마나 원주민사회를 파괴했는가? 미국문학으로 분류되는 초기 청착기에 있었던 기록물들에서 혹은 지금도 유럽인들은 그 아메리카 땅을 불모지로 보고 그 풍요를 파괴했던가? 우리는 또 그들을 얼마나 닮았던지 어쩌면 질서와 풍요로 가득한 곳을 “불모지”나 “가치 없는 것”으로 여기면서 얼마나 파괴하고 있는가? 우리가 일상에서, 즉 일상적 시공간적 약속에서 쓰는 있음과 없음(있음과 없음도 많은 다른 내용이 있다. 그러나 일상적 쓰임에서는 이런 것을 기본적으로 무시하기 때문에 이야기를 잘 하지 않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이라는 것은 또한 일정한 맥락 안에서 놀아야 하는데 얼마나 주제넘게 확장하면서 타자의 세계를 비웃는가? 이런 것들이 베르그송이 인도한 존재론의 입구 선 제 머릿속에 맴도는 착잡한 상념들입니다. 언젠가 정리되는 대로 우리는 다시 베르그송을 찾을 것이고 다시 절망할 는 지도 모르지만 그래도 괜히 여기까지 따라왔다는 실망은 하지 않을 것임은 분명하기에 빠른 시일 내에 다시 강독모임이 재계될 것입니다. 모두 건승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5
-
백두대간
2009.03.17 06:42
-
김봉진
2009.03.17 12:19
새벽에 글을 남기셨군요. 잠을 스킵한건지 아님 그때 일어나신건지? 여하튼 부럽습니다.^^
베르그송은 정말 한계에 부딪쳤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계속 쳇바퀴 도는 것 같아서...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서구 존재론사를 좀 깊이 들어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면서 잠정적
휴식에 동의를 했지요. 몇 주전에 읽었는데 탄허스님이 말세에 살아남는 방법을 이렇게
얘기하더군요. "놀라지 마라!" 말세는 인간들의 초조와 조바심에서 비롯된다. 라고...
궁금증은 많이 생기지만 어느정도는 동의가 되는 내용입니다. 자연은 그냥 그대로 운행하고
있는데 문명의 잠담들이 들끊는 것이 곧 말세가 아닐까? 하는 생각...그리고 건성하지말고^^
건승(건강 건, 이길 승)하세욧! -
고리
2009.03.17 16:20
백두대간 님, 반갑습니당^^
사실 알바 님이 비장하게 선언한 글과는 달리 고리는 베르그송 공부를 몇 달 뒤에 재개하는 걸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 몇 달 동안은 창조적 진화의 재개를 위한 기초공사를 좀 더 다진다고나 할까요? 암튼 창조적으로 공부하고 있어야겠다 싶습니다.(사실은 사이버네틱스와 겹쳐서 또다른 뭔가를 위해 시간을 내기가 버겁기도 해요^^;;)
하지만!!! 베르그송에 매료되었던 위너의 저작을 공부하는 것이니까, 우리의 백두대간 님이 일찍이 예견하셨던 것처럼, 언젠가 베르그송의 생명개념과 요나스의 생명개념과 에...저...또...기타 등등을 다~공부해버릴 날이 오지 않을까 싶어요.
그러니까...고리가 말씀드리고자 하는 골자는요...결국...알바 님의 비장한 글에 너무 젖어들지 말라는~^^
미쿡에서 건강하고 즐겁게 머물면서 공부하시기를 바라면서 휘리릭~~go! go! -
自然
2009.03.18 01:05
저는 사실 베르그송을 이제 좀 이해하기 시작했다고 (감히) 얘기하고 싶습니다. 애초에 들뢰즈의 생명철학을 공부하다가 [차이와 반복]을 읽을까 말까 잠시 고민한 뒤에, 이렇게 베르그송의 [창조적 진화]로 간 것이니만큼 베르그송을 여기에서 잠시 멈춘다고 해서 그것을 아예 그만 두는 것은 결코 아닐 것입니다. 김봉진님(알바님)의 글처럼, 빠른 시일 내에 베르그송 강독이 재개되리라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그 때는 박홍규 선생님의 강독원고를 함께 읽어가보면 어떻겠는가 생각이 듭니다. 틈틈이 보는데, 여간 재미있는 것이 아닙니다.
사실 온생명론 공부모임도 생명철학 공부모임과 근본이 다르지 않겠지만, 하나가 내부로부터 외부로 향해가는 공부라면, 다른 하나는 외부로부터 내부로 향해가는 공부라 생각합니다. 잠시 사이버네틱스로 가더라도 모든 길은 다 통하는 법이 아니겠습니까? ^^
백두대간님도 힘 많이 보태 주셔요~ -
백두대간
2009.03.18 14:46
알바님/ ㅋ 제가 무슨 일로 새벽에 깨겠습니까~ 단지 시차 문제일 뿐이라는^^; 그나저나 탄허 스님의 말씀 참 명언이네요. 저 자신부터도 까닭모를 초조함과 조바심에 휩싸일 때가 많은데... 여기서라도 마음 수양은 역시 해야겠군요.
고리님/ 제 답글 분위기가 좀 그랬나요?^^ 저는 괜찮습니당~ 물론 베르그송으로 빠른 시일 내에 돌아오기도 하겠거니와, 새로 읽게 될 '사이버네틱스'가 보면 볼수록 기대가 되거든요 ㅋ 위너라는 사람이 개인적으로 제 전공과 꽤나 연결되는 사람이기도 해서 더 그렇구요~ 그나저나 고리님 요즈음 어떻게 사시고 계신지 넘넘 궁금하네요. 정말로 시간이 얼마나 걸리건 간에 앞으로 중요한 생명 개념들 함께 다 공부해 버리자구요^^
자연님/ 제가 보태드릴 힘이랄 건 별루 없구요^^; 다만 귀동냥 + 참여는 열심히 하겠습니다. 저는 그나마 읽어놨던 베르그송에 관한 것들을 거의 다 까먹었답니다 ㅠ.ㅠ;; 이제 '사이버네틱스'나 열심히 읽어야겠네요.. 저 또한 모든 길은 다 통한다는 것을 믿으니까요.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23 | 생명철학 공부모임을 다시 시작해 볼까요? ^^ | 自硏 自然 | 2013.01.22 | 3470 |
22 | 마지막 모임 24일 7시 | 自然 | 2009.06.22 | 9502 |
21 | 다음 수요일(6월 10일)엔 꼭 모이죠~ [2] | 自然 | 2009.06.05 | 9502 |
20 | 이번 모임 27일 7시 [12] | 自然 | 2009.05.25 | 9072 |
19 | 5월 13일 모임 연기 [2] | 自然 | 2009.05.13 | 7161 |
18 | 위너와 통계역학 (글 수정했음) [15] | 自然 | 2009.05.02 | 8601 |
17 | 질문과 사족 [5] | 엘리엇 | 2009.04.27 | 6942 |
16 | 29일 모임 [3] | 自然 | 2009.04.25 | 6723 |
15 | 후생유전학(epigenetics) [2] | 自然 | 2009.04.09 | 8969 |
14 | [책 소개] 기계적 생명의 매력: 사이버네틱스, 인공생명, 새로운 인공지능 | 自然 | 2009.04.02 | 9355 |
13 | 강독 일정 (날짜 포함) [5] | 自然 | 2009.04.02 | 6869 |
12 | 오늘 드디어 사이버네틱스 시작했습니다 [2] | 自然 | 2009.03.26 | 8611 |
11 | 사이버네틱스 강독모임은 3월 25일(수) 7시에 [9] | 自然 | 2009.03.22 | 7305 |
10 | [제안] 앞으로 사이버네틱스 강독모임 얘기를 [2] | 自然 | 2009.03.18 | 7189 |
» | 창조적 진화는 잠시 중단합니다. [5] | 알바 | 2009.03.17 | 6996 |
8 | 노버트 위너의 사이버네틱스 강독 계획 [14] | 自然 | 2009.03.16 | 7466 |
7 | 사이버네틱스란? (백과사전 항목) [1] | 自然 | 2009.03.12 | 7506 |
6 | 다음 모임은 3월 16일(월) 7시 30분! [6] | 自然 | 2009.03.07 | 6976 |
5 | 위너의 사이버네틱스 복사하실 분? [9] | 自然 | 2009.02.28 | 7613 |
4 | 26일은 다 힘드신가 보군요 [13] | 自然 | 2009.02.26 | 7613 |
알바님께서 자못 비장하고 깊은 어조로 글을 올리셨는데, 감동 받았습니다. 하지만 정말로, 이 휴식기간은 진정 '창조적'인 시간이 될 것이기에 크게 아쉽지는 않군요. 우리 뇌의 '지식'이라는 것 또한 창조적으로 조직화하기에 쉬는 동안에 우리의 베르그송에 대한 이해 또한 더 조직화될 거라고 확신합니다. 앞으로 다른 곳에서 진행될 '사이버네틱스' 강독모임에도 우리 생명철학 강독 팀(?^^;)이 많이 참여하시겠죠? 저도 시간이 나는 대로 온라인 상에서나마 많이 이야기를 하고 싶구요... 개인적으로는 그동안 베르그송을 읽으면서 생명에 대한 전통적 개념들의 변천사를 알 수 있었다면, 이번 사이버네틱스를 통해서는 그 개념들이 현실 세계 속에서, 특히 물리학, 생물학, 심리학 뿐 아니라 기술 및 사회의 영역에까지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되는가를 볼 수 있고 또한 그 역방향, 즉 개념들이 학문 및 기술의 발달과 병행하여 어떻게 확장되고 변용되는가 또한 엿볼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을 합니다.
어떤 식으로든, 우리의 생명에 대한 공부는 쉬지 않을 것이고, 우리의 이야기도 쉬지 않을 것이며, 그렇게 우리의 이해도 쉬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有無, 즉 '있음'과 '없음'의 두 개념짝보다 더 진실한 것은 生生不息, 즉 '창조적 생성'과 '쉬지않음'일 테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