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d in life 다섯 번째 모임은 10월 15일 금요일에 합니다.
2010.10.08 06:51
요즘 많이들 바쁘셔서 모임도 좀 지지부진하고 덩달아 모임의 정리나 다음 모임 공지도 지지부진하네요.
9월 15일(수)에 세 번째 모임을 가진 데 이어서
9월 30일(목)에 네 번째 모임을 어렵사리 가졌습니다.
황님과 보현씨, 시인처럼, happysong, 자연 등 다섯 사람이 조촐하게 모였구요,
다른 사람들의 준비가 부실해 happysong님이 책 처음부터 다시 훑으면서
2장의 현상학 부분을 정리하신 이야기를 줏어들으면서 공부를 했답니다.
자연님이 강의 마치고 좀 늦게 도착해서 현상학에 대해서 추가로 더 해설을 해주었고요.
10월 15일(금)에 다음 모임을 갖기로 했고요,
이날은 확실히 제5장 autopoiesis 부분을 하기로 했습니다.
기존의 마뚜라나나 바렐라의 설명과 다른 방식으로 톰슨이 자체생성성을 정리하고 있는데
다른 어떤 글 이상으로 이해에 좋다고 하죠? 자연님 이야기에 따르면요.
10월 15일에는 애를 써서 공부를 잘 해와서 모여보죠.
제주도 여행 다녀왔다는 봄날님과
감기고뿔에 몸 불편하다는 그러게요님도 보면 좋겠고요~.
- 시인처럼
댓글 5
-
自然
2010.10.12 23:37
-
눈사람
2010.10.14 09:32
자연형이 안빠지겠다고 하니, 저도 열심히(잘 될까나...?!) 읽어가겠슴다요.
낼 봐요~
-
Life in mind 1부와 2부 1장까지 정리한 것입니다.
정리라기보다는 맥락을 잡기위해 발췌요약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혀 공개용이 아니구요… 사실 영어로 읽다보니까
무슨 이야기가 있었는지 자꾸 까먹게 되고
다시 찾아보는 것도 쉽지 않아서 그냥 개인적으로 준비한 것입니다.
같이 봤으면 좋겠다고 해서 올려봅니다.
오타! 당근 많구요…( 제 인생이 대충대충이라…. )
모임 때는 제가 한국말로 맥락을 잡아서 얘기하니까 그럴듯해 보이는데
실제 문서로만 딱 보면 도움이 될지 어떨지는 모르겠어요.
도움이 되신다면 더 다듬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自然
2010.10.18 02:07
happysong님 고맙습니다. 저도 틈 나는 대로 제가 정리한 것 올려 드릴께요. 요즘 좀 여유가 없었는데, 해피쏭님이 이렇게 자료를 올려주시니 저도 화답하는 차원에서라도 정리를 잘 해 보려 합니다. 공부하면서 늘 느끼게 되는 것이 결국 어느 정도에서의 유시유종이더라구요. 일단락을 하는 차원에서 정리를 잘 하는 게 남는 것이었거든요. ^^ -
눈사람
2010.10.18 10:38
오, 고맙슴당...
대충대충하는 데 있어서는 저를 따를 자가 없다는.. ㅋㅋ
잘 볼께요. 담 시간엔 저도 좀 써가도록.. 해.. 보.. 겠.. 슴당.. -,-;;;
ㅋ 어쩌다 보니 이번 금요일과 토요일에 1박 2일로 모임이 잡혀 버렸습니다. 제 의지와는 별로 상관없이 말입니다.
좀 고민하다가... 이번 모임에 빠져서는 안 된다는 사명감(^^)을 가지고 참석하기로 했습니다.
자체생성성(자기생산?)에 대해 제대로 정리를 할 수 있는 좋을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요즘 인기가 한창인 시스템 생물학과 깊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Fred Boogerd, Frank J. Bruggeman, Jan-Hendrik S. Hofmeyr, H.V. Westerhoff (Editors)
Systems Biology: Philosophical Foundations
Elsevier Science (2007)
이 책에 대해서는 따로 소개의 글을 올려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