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녹색아카데미

Mind in Life 여덟 번째 모임

2010.11.24 00:03

自然 조회 수:4443

Mind in Life 여덟 번째 모임은 12월 2일(목) 7시 길담서원입니다.


지난번에 다하지 못한 6장 '생명체의 철학'을 마무리하고 아마 7장으로 갈 수 있으리라 생각하고 있습니다.

7장의 제목은 Laying down a path in walking입니다. 한국어로 번역하자면 "걷다 보니 길이 만들어지고" 쯤 될까요?

바로 "오솔길"이 떠오르는데요. 어쩌면 오솔길님이 필명을 정하신 것과 일맥상통하는 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이 구절은 프란시스 바렐라가 1992년 톰슨이 편집한 [가이아, 앎의 길: 새로운 생물학의 정치적 함의]에 실은 논문에 나온다고 합니다. 원래는 스페인의 시인 안토니오 마차도의 싯구인데, 바렐라가 이 시를 영어로 번역하여 논문에 실은 모양입니다.


The phrase "laying down a path" is from an article by F. Varela (1992) titled Laying down a path in walking. In W. I. Thompson (ed.). Gaia, A Way Of Knowing: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New Biology (Hudson, NY: Lindisfarne Press). Originally from a poem by A Machado in Proverbios y Cantares, 1930 which Varela translated into English.

[http://www.ccfi.educ.ubc.ca/publication/insights/archives/v03n01/fels.html#2]


원래 싯구를 찾아 봤더니 이렇습니다.


PROVERBIOS Y CANTARES - XXIX


  Caminante, son tus huellas
el camino y nada más;
Caminante, no hay camino,
se hace camino al andar.
Al andar se hace el camino,
y al volver la vista atrás
se ve la senda que nunca
se ha de volver a pisar.
Caminante no hay camino
sino estelas en la mar.


http://www.poesia-inter.net/amach164.htm

http://www.rinconcastellano.com/biblio/sigloxx_98/amachado_prov.html

http://www.panhala.net/Archive/Proverbios_29.html

http://www.panhala.net/Archive/Proverbios_XXIX.html

http://blog.ohmynews.com/inthebeing/151828

http://blog.naver.com/jobnomad/80047499876


한국어 번역을 찾아보니까 '여행자'라고 나오는데, 그보다는 '나그네'가 나을 것 같습니다.


나그네


         안토니오 마차도


나그네여, 당신의 발자국이 바로 길,

본래 그것 말고는 없다네.
나그네여, 아무런 길이 없어도
길은 만들어진다네, 걷다 보면.
걸으면서 당신은 길을 만든다네.
그리고 당신이 멈춰서 뒤돌아보면
그 길이 보인다네
결코 다시는 밟지 않을.
나그네여, 아무런 길도 없다네
바닷가에 포말 자국뿐

(천국으로 가는 시 中)


7장의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자체생성, 생식, 대물림

(2) 유전자중심주의와 진화의 주류 이론

(3) 유전자중심주의의 문제점들

       a) 바이스만의 교조

            1. 분리설

            2. 대물림설

            3. 인과적 비대칭성

       b) 정보단위로서의 유전자

(4) 발생계 이론

(5) 발생계의 강고함과 유연함

(6) 기연적(起緣, enactive) 진화    

(7) "걷다 보니 길이 만들어지고": 필연와 우발의 사이



[지난 번 모임에서 해피쏭님이 enactive를 '연기적'이라고 번역하면 어떻겠냐고 하셨는데, '연기'라는 말이 선입견을 줄 수도 있으니까 '기연'이라고 하는 게 나을 것 같다고 제가 얘기했습니다.^^ ]


어쩌면 몇 년 전부터 '생명철학 공부모임'에서 함께 읽은 [들뢰즈의 생명철학] 그리고 [싹트는 생명]이 많이 연관될 것으로 보입니다.


제 자신은 2005년쯤에 '발생계 이론'을 처음 접했고, 그 뒤에 바이스만의 논의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해 왔는데, 역시 이번 장에서는 진화와 발생이 중점적으로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기대가 됩니다.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9 Mind in Life 아홉 번째 모임 [2] 自然 2010.12.04 4344
» Mind in Life 여덟 번째 모임 [10] 自然 2010.11.24 4443
57 Mind in Life 일곱 번째 모임은 11월 11일 목요일 저녁 7시~ [2] 시인처럼 2010.11.03 5503
56 다음 모임 10월 28일 7시 [1] 自然 2010.10.25 5052
55 Mind in life 다섯 번째 모임은 10월 15일 금요일에 합니다. [5] 시인처럼 2010.10.08 4631
54 Mind in Life 세 번째 모임, 9월 15일에 합시다~. [2] 시인처럼 2010.09.08 5128
53 Mind in life 두 번째 모임은 8월 20일입니다. 시인처럼 2010.08.12 5857
52 Mind in life 1차 후기 happysong 2010.08.02 5390
51 온생명론연구모임, 다음은 7월 30일(금) 입니다~. 시인처럼 2010.07.19 6748
50 Evan Thompson의 Mind in Life를 보려고 합니다. [10] file 시인처럼 2010.07.09 6813
49 6월 4일 온생명론 연구모임 정리 [1] 시인처럼 2010.06.08 6194
48 온생명론 연구모임 5월부터의 공부 방식 [4] 시인처럼 2010.05.08 6344
47 양자역학의 서울해석에 대한 단상 [2] 타임헌터 2010.04.13 7998
46 온생명론 연구모임 4월부터 공부 계획 [3] 시인처럼 2010.03.30 6565
45 시냅스와 자아 마무리 [1] happysong 2010.02.13 7033
44 르두 시냅스와 자아 5차 모임 공고 [3] 自然 2010.01.29 5901
43 존 설의 중국인(어) 방 논변(사고실험) [1] 自然 2010.01.22 17756
42 해석의 문제 [5] 타임헌터 2010.01.20 5470
41 르두 4차 후기 [8] happysong 2010.01.19 4985
40 온생명에 대한 단상 [8] 타임헌터 2010.01.14 4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