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녹색아카데미

Mind in Life 아홉 번째 모임

2010.12.04 11:56

自然 조회 수:4344

Mind in Life 아홉 번째 모임은 12월 11일(목) 7시 길담서원입니다.

 

다룰 내용은 7장 뒷부분과 8장입니다.

 

7장 뒷부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주제는 다름 아니라 '발생계이론'(DST, developmental systems theory)입니다.


발생계이론을 한마디로 설명한다면, 유전학과 진화의 자연선택이론을 근간으로 하는 생물학의 패러다임을 발생계라는 확장된 틀로 바꾸자는 흐름이라 할 수 있습니다. 발생, 즉 유전자로부터 하나의 개체로까지 변화해 가는 과정을 유전자의 프로그램에 따라 '기계적'으로 진행되는 공장 같은 과정으로 보면 안 된다는 것이죠. 오히려 발생이란 기초적인 프로그램을 가지고 맞닥뜨리는 여러 가지 요인들 속에서 에측불허의 과정으로 전개된다고 주장하는데, 그런 발생의 맥락 전반을 발생계(developmental systems)라고 부릅니다.


처음 접할 때에는 좀 낯선 느낌일 것 같은데, 아래 링크가 혹 도움이 될 수 있겠습니다.

 

위의 링크는 발생계이론과 자체생성성 사이의 관계에 대한 스케치입니다. 발생계이론의 주요 논자 중 한 사람인

수전 오야마(Susan Oyama)가 영국 서섹스 대학에서 2008년에 강연한 것을 가지고 Life & Mind Seminar의

한 사람이 자신의 질문거리를 올려 놓은 것입니다.


위키피디어에 있는 위의 내용은 그럭저럭 참고할만합니다.


위의 글에서는 발생계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두 철학자가 발생계이론에 대한 세 가지 오해를 얘기하고 있습니다. 자주 인용되는 논문입니다.


위의 것은 캘리포니아 대학 샌디에고 분교에서 개설된 "생물학의 철학"에서 수업자료로 제시된 것인데 발생계이론을 아주 일목요연하게 잘 보여줍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Mind in Life 아홉 번째 모임 [2] 自然 2010.12.04 4344
58 Mind in Life 여덟 번째 모임 [10] 自然 2010.11.24 4443
57 Mind in Life 일곱 번째 모임은 11월 11일 목요일 저녁 7시~ [2] 시인처럼 2010.11.03 5503
56 다음 모임 10월 28일 7시 [1] 自然 2010.10.25 5052
55 Mind in life 다섯 번째 모임은 10월 15일 금요일에 합니다. [5] 시인처럼 2010.10.08 4631
54 Mind in Life 세 번째 모임, 9월 15일에 합시다~. [2] 시인처럼 2010.09.08 5128
53 Mind in life 두 번째 모임은 8월 20일입니다. 시인처럼 2010.08.12 5857
52 Mind in life 1차 후기 happysong 2010.08.02 5390
51 온생명론연구모임, 다음은 7월 30일(금) 입니다~. 시인처럼 2010.07.19 6748
50 Evan Thompson의 Mind in Life를 보려고 합니다. [10] file 시인처럼 2010.07.09 6813
49 6월 4일 온생명론 연구모임 정리 [1] 시인처럼 2010.06.08 6194
48 온생명론 연구모임 5월부터의 공부 방식 [4] 시인처럼 2010.05.08 6344
47 양자역학의 서울해석에 대한 단상 [2] 타임헌터 2010.04.13 7998
46 온생명론 연구모임 4월부터 공부 계획 [3] 시인처럼 2010.03.30 6565
45 시냅스와 자아 마무리 [1] happysong 2010.02.13 7033
44 르두 시냅스와 자아 5차 모임 공고 [3] 自然 2010.01.29 5901
43 존 설의 중국인(어) 방 논변(사고실험) [1] 自然 2010.01.22 17756
42 해석의 문제 [5] 타임헌터 2010.01.20 5470
41 르두 4차 후기 [8] happysong 2010.01.19 4985
40 온생명에 대한 단상 [8] 타임헌터 2010.01.14 4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