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녹색아카데미

11월 녹색문명공부 모임


"독초(유독식물)의 세계"


일시 : 2013년 11월 9일(토) 오후 2시-6시

장소 : 길담서원 (서울 통인동.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발표자 : 김원학

(이하 공지는 발표자이신 김원학님께서 보내주신 내용입니다. 김원학님은 [한국의 독초], [식물독성학](공저)의 저자이시고 곧 새 책도 나올 예정입니다. 발표도 새 책도 기대만빵입니다!!)



안녕하세요. 11월에는 독초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웰빙바람은 무공해 천연식품에 대한 열광으로 드러나고 있습니다. 언론매체에서는 효소(발효액)나 약초, 건강식품에 대한 정보를 끊임없이 쏟아내고 있습니다. 

약초나 산나물은 웰빙식품의 대표적인 것으로, 여행이나 등산을 하다보면 길가나 숲속에서 식물의 싹이나 뿌리를 채취하는 이들을 어렵지 않게 만나게 됩니다. 

그들의 모습을 보면 자연에서 채취한 식물은 무조건 몸에 좋다는 의식을 금과옥조로 삼는 듯합니다. 이름을 아예 모르거나 잘못 알고도 나물을 채취하는 경우를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심지어 어떤 식물인지 자신도 모르면서 동료들에게 약초라며 독초를 권했다가 함께 병원 중환자실 신세를 지는 사고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언론매체에서도 독초를 산나물로 잘못 알고 먹은 뒤 탈이 났다는 이야기를 심심치 않게 보도합니다. 

그렇다보니 산림청과 식약처에서는 매년 봄마다 산나물이나 산약초의 불법채취를 하지 말라거나 독초를 나물로 오인해 섭취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으니 주의하라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내고 있습니다.

이처럼 일부 산나물은 인체에 유해한 유독성분을 함유하고 있는데, 산나물뿐만 아니라 우리가 흔히 먹는 식물에서도 독성물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싹이 난 감자나, 보신탕집에 놓여있는 살구 씨, 덜 익은 매실 등이 여기에 포함됩니다. 원추리나 으아리(사위질빵)의 경우도 제대로 데치지 않는 상태에서 나물로 무쳐먹었다가 많은 사람들이 식중독에 걸리기도 합니다. 

독초에서 추출한 유독물질을 활용해 동물을 사냥하기도 했는데, 유독성분도 사용법에 따라서는 약품이 되기도 합니다. 맹독물질이라도 양을 더하거나 줄임으로써 약이 되고, 반대로 약으로 쓰이는 물질도 일정량을 초과하면 생명을 위협하는 독이 되기 때문입니다. 

단지 양의 차이일 뿐 독초가 곧 약초이고, 약초가 곧 독초인 셈이죠.

하지만 독이 있어서 유독식물이 아니라 탈을 내기 때문에 유독식물이라는 점을 머릿속 깊이 새겨야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최고의 나물로 치는 고사리이지만 외국에서는 독초로 구분하기도 합니다.

이번 모임에서는 독초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알아보고, 독초를 먹고 발생한 중독의 사례를 점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울러 독초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안전하게 이용하는 방법도 제시해보고자 합니다. 민간요법과 건강보조식품의 위험성에 대해서도 전해드리겠습니다. 


독초에 대해 궁금하신 것이나 다뤄주길 바라는 내용을 말씀해주시면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 독초의 다양한 모습 *


소크라테스의죽음.jpg

소크라테스의죽음: 소크라테스는 나도독미나리(독당근, 독인삼)를 먹고 죽음을 맞이했다.


김윤보 형정도첩.jpg

김윤보 행정도첩: 사약을 받는 모습. 사약에는 투구꽃을 비롯한 독초가 함유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선덕여왕 화살 독.jpg

선덕여왕 화살 독: TV드라마 <선덕여왕>에서는 선덕여왕이 협죽도를 이용해 백제군의 퇴치시키는 장면이 나온다. 독화살과는 무관.


영화.jpg

영화: 일본의 한 외과의사는 독말풀을 마취제로 이용하기 위해 자신의 아내를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실시하는데, 그녀는 독초의 부작용으로 눈이 멀고 만다. 


디기탈리스 닥터 가셔.jpg

디기탈리스 닥터 가셔: 고흐의 죽음에는 독초로 알려진 디기탈리스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 2014년에는 좋은 일만 가득 하시길 빕니다 [3] 自硏 自然 2014.01.03 5727
83 12월 녹색문명공부모임 [14] file 눈사람 2013.11.11 7406
» 11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독초(유독식물)의 세계" [14] file 눈사람 2013.10.30 7738
81 10월 녹색문명공부 모임 - 침팬지와 인간 사이 [13] file happysong 2013.09.29 9103
80 '세포와 세포막을 통해 바라본 생명의 신비' 이수재 박사 강연 (2013년 9월 10일(화) 7시 30분, 길담서원) [4] 이모작 2013.09.08 10222
79 9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생태시민성' + '파시브하우스, 살아보니' [13] file 눈사람 2013.08.27 11289
78 8월 녹색문명 공부모임: 생태시민성 [20] file 바다 2013.07.20 13225
77 7월 녹색문명 공부모임: 문명의 붕괴: 드미트리 오를로프의 다섯 단계 [27] file 自硏 自然 2013.06.16 15076
76 6월 모임의 주제를 바꾸고자 합니다. [1] 이모작 2013.06.05 13066
75 6월 모임 예비공지: 마르크스주의와 생태주의 [6] file 自硏 自然 2013.05.27 14898
74 5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창경궁의 숲 [17] file 산지기 2013.05.07 14833
73 5월 녹색문명 공부모임은 숲에서 (예비공지) [3] file 自硏 自然 2013.05.03 13883
72 2012 녹색문명공부모임 자료집 [9] file 눈사람 2013.04.30 14522
71 4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파시브하우스 지어보니 [37] file 눈사람 2013.04.01 14933
70 3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원자력 에너지와 방사능 (따스민) [29] 눈사람 2013.03.01 15101
69 2월 16일 녹색문명공부모임: 빛과 생명과 에너지 [21] file 自硏 自然 2013.01.21 29037
68 1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신재생에너지는 왜 보급이 잘 안되는 것일까? [8] Lain 2013.01.07 16772
67 2013년 녹색문명공부모임 [20] file 눈사람 2012.12.14 17841
66 12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2012 주제발표 몽땅 논의 & 자료집 [7] file 눈사람 2012.11.18 18425
65 장회익 선생님의 강연회 소식 [8] 自硏 自然 2012.11.12 15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