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녹색아카데미

다마지오가 말하는 마음과 유식학

2009.11.12 01:48

自然 조회 수:7213

불교나 유식학은 통 모르는데, 오늘 읽은 다마지오의 책 부분에서 happysong님이 제7식이나 제8식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 하는 질문을 하셨습니다. 그 얘기에 대해 인터넷에서 검색한 것을 기록의 차원에서 올려 놓습니다. 아마도 '유식삼십송'이 많이 관련될 것으로 보입니다.

 

흥미롭게도 '자체생성성'(autopoiesis)의 주창자 중 하나인 바렐라도 이 문제에 직접 연관될 수 있는 저서를 갖고 있습니다.

 

The Embodied Mind: Cognitive Science and Human Experience, by Francisco Varela, Evan Thompson, and Eleanor Rosch, Cambridge, MA: MIT Press, 1991, 328pp

 

명시적으로 유식학을 거론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내용은 불교의 명상전통과 메를로-퐁티의 몸의 현상학을 대안으로 삼아 인지과학의 오래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주장으로 되어 있습니다.

 

바렐라는 신경생리학자이자 면역학자이고, 에반 톰슨은 철학자이고, 일리너 로쉬는 심리학자입니다. 이들은 소위 행위적 관점(enactive perspective)을 제안하는데, 인지를 외부세계와 연결된 구조적 결합의 역사로 볼 뿐 아니라 인지작용이 상호연결된 신경망들의 다양한 층위로 이루어진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진다고 봅니다.

 

미국 터프츠 대학의 대니얼 데닛은 이 책에 대해 상당히 비판적인 견해를 제시했습니다.

(http://cogprints.org/273/0/varela.htm )

 

저로서는 유식삼십송이 여전히 무슨 말인지 감을 잡기 힘듭니다. 나중에 기회가 되면 언젠가는 한번 읽어봐야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자료를 위해 관련된 것을 기록해 둡니다.

 

인경 스님의 유식삼십송 강설

http://kr.blog.yahoo.com/ahrdls03070/14890.html?p=2&pm=l&tc=62&tt=1257941269

http://v.daum.net/link/2089116

 

불교의 12연기법에 의하면 갓난아기는 명색(名色)을 갖추고 태어난다고 했다. 명이란 마음을 말하며 색(色)이란 물질, 즉 육체를 말한다. 갓난아기가 자라서 1~2세가 되면 육처(六處), 즉 눈, 귀, 코, 혀, 피부 및 뇌 등 여섯 가지 감각기관의 본성에 의해 외부 세계와 접촉(觸)을 하게 된다. 아이가 3~5세가 되면 자신의 의식을 표현할 수 있게 되고, 외부 세계 현상을 접촉에 의하여 의식적으로 받아들이기 시작한다. 즉 이때부터 사람은 개체성이 명확히 드러나면서 동일한 사건이나 사물에 대하여 사람에 따라서 즐겁거나 괴롭거나 혹은 아무렇지도 않게 받아들이게 된다(受). 성인이 되면 지각(受)의 본성에 의해 드디어 탐욕(愛)이 생기는데 사람은 애(愛)의 본성에 의해 집착(取)을 하게된다. 다시 말하면 사람은 기쁨이나 쾌락을 경험하면 그것을 자기 것으로 만들려고 애쓰고, 슬픔은 멀리하고 싶어진다고 하였다. 또 성인은 취(取)의 본성에 의해 죽지 않고 오래 살고 싶어하는 집착을 가진다고 하였다(有).
따라서 부처님께서는 고(苦)를 없애는 방법으로 유(有), 취(取), 및 애(愛)를 버리면 된다고 하였다. 그런데 이것만 버리면 마음이 청정하게 되는 것이 아니다. 인간의 마음이 여러 층 구조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불교에서는 마음의 구조를 심(心), 의(意), 식(識)의 3층이라고 하고, 유식학에서는 심(心)을 제8식(第八識) 혹은 아뢰야식, 의(意)는 제7식 혹은 말라식, 식(識)을 제6식이라고 한다. 이와 같이 마음이 3층 구조로 되어있어, 고(苦)를 없애기 위해 유(有), 취(取), 및 애(愛)를 버린다고 해도 이때 지워지는 마음의 층은 제7식일 뿐이고, 제8식에 묻은 때는 그대로 남는다. 사람이 죽으면 육체는 없어지지만 마음은 없어지지 않는다. 그래서 죽음 후 영혼을 중유(中有) 혹은 아뢰야식이라고 불렀다. 사람이 살아있을 때는 마음 구조가 제6식, 제7 말라식 및 제8 아뢰야식 등으로 되어 있으나, 죽으면 제6식과 제7 말라식은 모두 제8 아뢰야식에 용해되어 저장된다고 하였다. 불교에서는 윤회 원리에 의해 과거 수도 없이 많은 생(生)의 기억이 모두 아뢰야식에 저장돼 있다.

(출처: http://www.buddhapia.com/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 르두의 시냅스와 자아 [8] 自然 2010.01.11 5467
38 2010-화두(2) 타임헌터 2010.01.07 5545
37 2010-화두(1) [5] 타임헌터 2010.01.07 5141
36 뇌의 해부학적 구조 [1] file 自然 2010.01.04 28827
35 르두 3차 정리 [1] happysong 2010.01.04 6437
34 경인년의 새해가 밝았습니다! [2] 다하늘 2010.01.03 5472
33 르두 2차 모임 후기 happysong 2009.12.18 5377
32 르두 1차 모임 정리 [12] happysong 2009.11.30 5410
31 철학적 입장들 나누기 [2] 自然 2009.11.24 6740
30 다음 모임은 르두의 [시냅스와 자아] [17] 自然 2009.11.12 5451
» 다마지오가 말하는 마음과 유식학 [2] 自然 2009.11.12 7213
28 스피노자의 뇌 3차 모임 후기 [1] happysong 2009.11.05 5277
27 올 하반기에는 "마음"에 대해서 공부를 해보기로 했습니다. [9] 시인처럼 2009.09.26 5266
26 하반기에 뭐 공부하면 좋을까 하는 생각... 시인처럼 2009.09.25 5513
25 오늘 9월 25일에 간만에 모임 갖기로 했습니다. 시인처럼 2009.09.25 5620
24 8월 8일 11시 근처에 모여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 준비합시다. 관리자 2009.08.05 8428
23 17일(금) 7시,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 준비해요~. 시인처럼 2009.07.15 6871
22 온생명론 연구모임, 7월 3일에 하죠. [1] 시인처럼 2009.07.02 6499
21 온생명론 연구모임, 금주 금요일(19일) 하면 어떤가요? [1] 시인처럼 2009.06.15 7192
20 6월 5일 온생명론 연구모임 정리 [1] 시인처럼 2009.06.09 70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