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두 1차 모임 정리
2009.11.30 00:09
-르두 1차 모임 정리
다마지오 4차모임을 정리하지 못했어요.
그 때 집안일이 있어서
며칠 어디 갔다오니까
맥이 끊어져버려서
내가 뭐 하고 있었더라...
멍한 느낌이 들어서요.
그래서 글을 올리지 못했어요.
저는 개인적으로
다마지오를 영문판으로 다시 보고 있어요.
오늘도 몇 페이지 보다가
르두 1차 모임에 문제되었던 부분이 딱 나오길래
쨉싸게 여기 들어왔지요.
모임에서 자연님이
나눠주신 베넷과 해커의 글을
볼때,
Emotion is not somatic change caused by thought
Any somatic changes need not be caused by mental images.
라는 부분에서
다마지오가 thought라든가 mental images에 대해서 말했던가요?
하고 제가 궁금해 했어지요.
오늘 책을 보다가
57페이지에 (영문판, 한글판으로는73페이지)
The stimulus(ECS), a certain object or situation actually present or recalled from memory, come to mind.
In neural terms, images related to the emotionally competent object must be represented in one or more of the brain's sensory processing systems, such as the visual or auditory regions---
이런 부분을 thought나 mental image로 표현한 것 같아요.
베넷과 해커 글은 아직 안읽어봤어요.
그래서 확인 불가.
그래도 앞 2장 정도는 읽었는데.
아주 까다롭게 굴더군요.
앞에 한장 정도만 갖추리면
feeling 에는 affection인 feeling과
affection이 아닌 feeling이 있어요.
affection인 feeling에는 emotion, agitation, mood가 있어요.
affection이 아닌 feeling에는 sensation, tactile perception, appetite가 있어요.
affection인 feeling과 affection이 아닌 feeling을 구분하는
이유는 sensation - 감각은 어디서 느껴지는 것이 명확하죠. 냄새나요, 들려요, 어디가 간지러워요, 어디가 쑤시는군요.
tactile perception - 이건 뭔지 확실치 않는데.... 뭐가 있다는 느낌 인가요? 뭐가 있나 더듬거리는 것 이런것 같아요.
appetite - 배고픔, 목마름, 성적 욕구예요. 이것은 일단 sensation과 desire의 혼합인데
sensation인 이유 - 느낌의 위치가 명확하다고 했지요 그래서
배고픔 : 배라는 위치에서 느껴진다
목마름 : 목이라는 위치에서 느껴진다
성적 욕구 : 이런 지금 다시 보니까 위치를 말해놓지 않았군요. ( 다행이다 ;;)
desire인 이유 - desire중에서도 formal object이 있는 것이고 충족이 되면 사라젔다가 다시 생겨나고 한다.
배고픔 : 음식에 대한 요구
목마름 : 물에 대한 욕구
성적 욕구 : 다 아시죠?
고딕체로 해놓은 부분이 affection 이 아닌 이유이자 특히 emotion과 다른 이유라고 합니다.
그 외에도 더 있긴 한데 다음 기회에 보구요.
이 정도면 베넷과 해커가 얼마나 까다롭게 구는지는 잘 보여주었다고 생각합니다.
앞으로 얼마나 더 쪼잔하게 굴지 기대하게 만드는 측면은 좀 있군요...
그 외에 모임에서 나온 얘기는
1. 뇌를 이야기 할때 왜 뉴런을 말하기보다는 시냅스를 말할까요?
2. 시냅스의 형성과 관련하여 선택선천주의와 지시구성주의는 무슨 말을 하고 있나요?
답들이 오고 가긴 했지만 다음 모임까지 한번 더 읽어 보고 정리해야 할 것 같아요. 정리가 안되서...
다음에 참석하실 때는 6장까지 읽어 오시고
1번과 2번을 생각해 오셔야 할 것입니다.
별로 정리한 것이 없어서
강한 어조로 마무리를 했어요.
그리고 이건 다른 주제인데
여기서 써도 될 것 같아요.
다하늘님이 달아놓은 댓글에서
온생명이 물질인가? 생명인가?
하는 질문을 보았는데요...
그저 이런 생각이 드는데..
물질을 떠나서 존재하는 생명이 있나요?
다만 이런 구분만이 가능하지 않나요?
입장 1 : 물질만으로 생명이 아니고 물질이 생명을 갖기 위해서 뭐 영혼이나 정신이 있어야 한다
물질과 대립하는 것은 영혼이라든가 정신이지 생명이 아니죠.
생명은 물질이 영혼이나 정신과 결합한 상태이고 물질에서 영혼이나 정신이 떠나면 더 이상 생명이 아니고죽음이죠.
입장2 : 물질만으로 생명이다. 생명과 죽음이 상대적일 거라고 생각합니다. 이 입장이라면. 다만 이런 질문 만이 가능하겠지요.
물질이 어떤 상태여야만 생명이 있다고 할 수 있는가? 상대적으로 더 생명에 가깝고 더 죽음에 가깝고 이런 단계가 가능하겠지요.
입장 3은 몰라요. 있다면 생명과 물질이 대립된다고 볼 수도 있는 입장일텐데......
어째든 제 생각으로는
물질과 생명이 대립되는 경우는 없을 것 같아요.
혹시 질문이 이거냐 저거냐 양단간에 정하는 것이라면
대립항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
제 생각입니다.
그래서 그러한 질문이
어떤 입장에서
나왔는지 궁금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12
-
自然
2009.11.30 01:08
ㅋ 역시 멋쟁이 happysong님께서 지난 번 모임을 잘 정리해 주셨네요. 베넷과 해커의 글은 너무 논쟁적이어서 얘기가 더 복잡해지는 것 같습니다. 조금이라도 우리 논의에 도움이 되면 좋겠다는 생각입니다.
저도 시간 나는 대로 지난 번 모임을 반추해서 글을 올려 보겠습니다.
-
自然
2009.12.10 23:46
물질과 생명의 관계에 대해서는 나름대로 얘기가 많이 되어온 편인데요... 제가 조금만 아는 것을 적어 보겠습니다.
먼저 19세기 생물학 내지 생명과학에서 기계론과 생기론의 논쟁입니다. 현대적인 관점을 약간 혼합한다면, 물질 없는 생명이란 가능하지 않겠죠. 물질이라고 말한 것은 정확히는 생명체 내지 유기체를 구성하는 생화학적 분자들, 즉 단백질, 핵산, 지질 같은 것입니다. 19세기 말에 효소(http://en.wikipedia.org/wiki/Enzyme)의 정체가 밝혀졌고, 그밖의 여러 생체분자들이 연구되기 시작했습니다. 이미 19세기 중반에도 베를린을 중심으로 생명체를 일종의 엔진이나 기계와 같은 것으로 보는 사람들이 많이 활발하게 자신의 이론을 내놓았습니다. 유명한 메리 셸리의 소설 [프랑켄슈타인](Frankenstein, or The Modern Prometheus)가 출판된 것이 1831년이고, 이렇게 시체에 전기를 불어넣어주는 식으로 생명체을 만들 수 있으리라는 믿음이 당시에 비교적 널리 퍼져 있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http://en.wikipedia.org/wiki/Frankenstein
하지만 생명체를 이런 생체분자들의 산물로 보는 견해에 반대하는 사람도 많았습니다. 이들 다양한 생기론(vitalism)에 대해서 더 세세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겠지만, 볼프, 메스머, 드리슈 등의 얘기를 일일이 쫓아가는 게 쉽지는 않습니다. 대략 말해서 이 사람들은 생명이 무엇인가, 다시 말해서 살아 있는 생명체가 그렇지 않은 비생명체와 무엇이 다른가를 해명하는 데 주로 관심을 쏟았습니다.
http://en.wikipedia.org/wiki/Vitalism
http://mechanism.ucsd.edu/~bill/teaching/philbio/vitalism.htm
하여튼 기계론-생기론 논쟁에서는 대립축이 물질(생체분자)과 생명이었던 셈입니다.
기계론-생기론 논쟁에 대해 잘 정리해 놓은 글로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의 항목을 보시면 좋습니다.
http://plato.stanford.edu/entries/life/
19세기 기계론-생기론 논쟁은 20세기 전반에도 계속 진행되었고, 슈뢰딩거의 [생명이란 무엇인가?]도 그 연장선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관심 있게 보고 있는 마투라나-바렐라의 '자체생성성'(autopoiesis) 이론도 사실 그 뿌리를 기계론-생기론 논쟁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http://psychology.jrank.org/pages/1932/autopoiesis.html )
한스 요나스는 [생명이라는 현상]에서 범물질주의(모든 것이 물질이다)와 범생명주의(모든 것이 생명이다)를 대립시킵니다. 근대과학혁명 이전에는 범생명주의가 중심적이었기 때문에 모든 것에 생명이 있다고 보았던 반면, 범물질주의에서는 생명이란 것이 도대체 무엇인지 해명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뉴런과 시냅스의 관계도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저는 르두가 새삼스럽게 시냅스를 중심에 두어야 한다고 말하는 게 그다지 수긍이 가지 않습니다. 다음 모임에서 더 심도 있게 얘기해 볼 주제라 생각합니다.
-
happysong
2009.12.11 01:41
아하 그러니까
기계론 대 생기론 / 물질이냐 생명이냐
그것은 '생명을 어떻게 볼 것인가?'에 관한 문제이군요.
그러니까
생명이란 결국은 아주 정교한 기계(생체분자로 이루어진)이다 . ----기계론
아니면 아무리 기계가 정교해진다해도 생명은 될 수 없고 생명이 될라면 뭔가 생명적인 것(뭔지는 몰라도)이 더 있어야 한다. ---생기론
그렇군요.
입장1 - 물질이 진화하다보면 절로 생명현상을 나타낸다 (기계론이 기본적으로 이런 입장이겠죠)
입장 2 - 물질이 절로 생명현상을 나타낼 수는 없고 물질이 아닌 무엇인가(뭔지는 몰라도)가 있어야 한다 (생기론이 기본적으로 이런 입장 이겠죠)
그렇다면
전혀 다른 제 3의 입장에서 등장한 질문은 아니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그나저나
자연님
다음 모임때 (토요일 말고 화요일)
베네트와 해커의 책 중에서 12장 복사해주시면 안될까요?
동물의 의식과 인간의 의식을 비교분석해놓을 듯이 예고하고 있는데 그런가요?
-
自然
2009.12.11 08:20
happysong님 정리는 정말 명료하십니다.
움베르토 마투라나와 프란시스코 바렐라의 자체생성성 이론은 두 입장과는 좀 다른 것 같기도 합니다.
베네트-해커 책 12장 복사해 갈께요. 분량이 좀 많을지도 모르겠어요.
-
自然
2009.12.11 16:37
12장 복사완료했습니다^^ 그런데 동물의 의식과 인간의 의식을 직접적으로 비교/분석한 것은 아니구요. 자아('self') 내지 자기의식(self-consciousness) 얘기가 중심입니다. 그러나 이 문제를 동물/인간의 비교와 무관하게 전개할 수는 없을 테구요. 전체적으로 동물/인간의 비교가 녹아들어 있는 것 같습니다.
11장 제목은 "의식의 수수께끼"인데, 이 장에서 진화론적 관점을 비롯하여 중점적으로 동물과 인간의 의식 비교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어쩌면 happysong님이 더 관심을 갖고 계신 부분은 11장일지도 모르겠습니다. 댓글 올라오는 것 보고 있다가 상황 봐서 11장도 복사하도록 해 보겠습니다. 그나저나 제 책이 복사하느라 좀 망가지는 느낌...^^ ㅋ 제가 책을 좀 신성시하는 못된 습성이 있거든요. 요즘은 많이 나아졌지만, 예전에는 책에 밑줄 긋는 것도 자와 색연필만 쓰구요. 여백에 낙서도 함부로 못 했답니다. 공부가 직업인 사람으로서 우습죠? ^^
-
happysong
2009.12.13 21:28
고맙습니다.
책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해보겠습니다. ^ ^
근데 저하고 완전 반대시네요.
말하자면 저의 경우
책걸레였다고나 할까....
요즈은 많이 달라졌어요.
-
흰돌이
2009.12.15 17:30
헥헥..
겨우 다 읽었어요.. 근데 너무 어려워요.. ㅠ.ㅠ
반 년 동안 책도 안읽고 쉬었더니 글을 읽어도 뜻이 안 들어오네요.. ^^;;
온생명론작은토론회에서 제가 해볼 걸로 자전거 얘길 어제 살짝 했는데요,
자전거를 타게 되면서 세상 보는 방식이 어떻게 달라지게 되는가에 대해서
마뚜라나랑 장회익선생님의 관점을 가지고 설명(?)까지는 아니더라도
뭔가 적용이랄까 그런 걸 해보면 어떨까 싶어요.
스케일이 좀 안맞을 지도 모르지만, 재밌을 것도 같거든요.
마뚜라나랑 선생님의 이야기가 어떻게 다른가만을 가지고 얘기하다가는
너무 멀고 험난한 것 같아서요, 구체적인 사례에 두 이야기를 적용(?)해보면
어떨까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당.
(저는 황황입니다. 아뒤 바꿨어요~ 흰돌이 보고 싶어서... ^^
웬지 새 글로 써야할 것 같은 내용인데,
안쓰다보니 쑥쓰러워서 댓글에 숨었어요.. -,-;;)
-
'흰돌이'보다는 '흰돌엄마'나 '흰돌이모' 정도가 되어야 하는 거 아닌감? ^^;;
-
自然
2009.12.15 17:50
자전거를 타고 가면서 보는 세상이란 주제가 아주 흥미롭습니다.
어제 언급한 야콥 폰 윅스퀼은 온생명과 연관하여 우리가 꼭 한번은 검토하고 가야 할 사람입니다.
윅스퀼이 독특하게 사용하는 움벨트(Umwelt, 둘레세계)라는 개념이 바로 "자전거로 가면서 보는 세상"이 "자동차로 가면서 보는 세상"이나 "걸어가며 보는 세상"과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가에 관련됩니다. 제가 "좋은 글과 자료 이야기"에 올려 놓은 글을 참고하셈.
http://www.greenacademy.or.kr/xe/?document_srl=3671#2
실제로 윅스퀼과 마투라나를 연결시키는 논의는 별로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첨부하는 논문은 윅스퀼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를 담고 있는데, 거기 참고문헌 중에
Salthe, Stanley N. (1993). Development and Evolution: Complexity and Change in Biology. Cambridge, MA: MIT Press.
가습니다. 논문 저자의 논평으로 Salthe의 접근은 윅스퀼에 가까운데, Salthe의 용어로는 '변증법적'(dialectical)이라고 합니다. Salthe는 마투라나와 바렐라의 관점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고 합니다.)
아마도 장회익 선생님의 접근과 윅스퀼의 접근을 비교해 보는 것이 아주 유익하리라 생각합니다.
-
흰돌이
2009.12.16 14:57
자연형의 다른 이름은 '논문검색엔진'... 이라고나 할까.. ^^;;
지금 보려고 출력하는 중이에요. 땡큐요, 형.
직장 다니니까 좋네요. 종이값도 안들고.
(핫. 이거 공공기물 무단사용인가.. -,-;;)
-
自然
2009.12.17 13:16
ㅋ 논문검색엔진이라고 하니... 좀 웃기는 느낌...^^
아무래도 직업상 필요로 하는 논문은 최대한 빨리 찾아내게 되더군요. 저는 직장에서 프린터용지를 무상으로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따로 구입해야 한다는...^^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39 | 르두의 시냅스와 자아 [8] | 自然 | 2010.01.11 | 5467 |
38 | 2010-화두(2) | 타임헌터 | 2010.01.07 | 5545 |
37 | 2010-화두(1) [5] | 타임헌터 | 2010.01.07 | 5141 |
36 |
뇌의 해부학적 구조
[1] ![]() | 自然 | 2010.01.04 | 28827 |
35 | 르두 3차 정리 [1] | happysong | 2010.01.04 | 6437 |
34 | 경인년의 새해가 밝았습니다! [2] | 다하늘 | 2010.01.03 | 5472 |
33 | 르두 2차 모임 후기 | happysong | 2009.12.18 | 5377 |
» | 르두 1차 모임 정리 [12] | happysong | 2009.11.30 | 5410 |
31 | 철학적 입장들 나누기 [2] | 自然 | 2009.11.24 | 6740 |
30 | 다음 모임은 르두의 [시냅스와 자아] [17] | 自然 | 2009.11.12 | 5451 |
29 | 다마지오가 말하는 마음과 유식학 [2] | 自然 | 2009.11.12 | 7213 |
28 | 스피노자의 뇌 3차 모임 후기 [1] | happysong | 2009.11.05 | 5277 |
27 | 올 하반기에는 "마음"에 대해서 공부를 해보기로 했습니다. [9] | 시인처럼 | 2009.09.26 | 5266 |
26 | 하반기에 뭐 공부하면 좋을까 하는 생각... | 시인처럼 | 2009.09.25 | 5513 |
25 | 오늘 9월 25일에 간만에 모임 갖기로 했습니다. | 시인처럼 | 2009.09.25 | 5620 |
24 | 8월 8일 11시 근처에 모여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 준비합시다. | 관리자 | 2009.08.05 | 8428 |
23 | 17일(금) 7시,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 준비해요~. | 시인처럼 | 2009.07.15 | 6871 |
22 | 온생명론 연구모임, 7월 3일에 하죠. [1] | 시인처럼 | 2009.07.02 | 6499 |
21 | 온생명론 연구모임, 금주 금요일(19일) 하면 어떤가요? [1] | 시인처럼 | 2009.06.15 | 7192 |
20 | 6월 5일 온생명론 연구모임 정리 [1] | 시인처럼 | 2009.06.09 | 7095 |
베넷과 해커의 글은 재미있게 보고 있습니다.
어떤 분석이 나올까 기대만발.
재밋으라고 째려보는 것 뿐이예요.
오해가 없으시길.... ..자연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