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녹색아카데미

르두 4차 후기

2010.01.19 08:49

happysong 조회 수:4985

르두 4차 후기

 

이번 모임에서는

주로 7장에 대해 이야기했어요.

7장이 되면 조금 나아지겠지 하고

기대했는데 7장이 되어도

조금도 덜하지 않은 난이도에

저로서는 다소 의기소침해진

형편이었는데요.

그래도 몇 장 남지 않았다는데

희망을 걸고 후기를 시작해보겠습니다.

 

7장에는 주로 인지에 대한 이야기를 합니다.

제목이 정신 3부작인데

자연님이 지정의 /진선미/ 칸트의 순수-실천-판단력(?)

와 같이 고전적으로 분류되는

정신의 3가지 작용을 말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모임 후에는 자연님이 일하시는 진선미 건물을

구경했는데요. 지금 생각해보니까 진선미는

3가지 정신작용의 완성태라고나 할까..

그런 깊은 의미가 있군요.

지의 궁극의 작용은 진이요

정의 궁극의 작용은 선

의의 궁극의 작용은 미이군요.

 

제목은 그렇더라도 7장에서 다루고 있는 것은

 

지 입니다 : 안다는 것은 무엇인가?

 

이것은 무의식으로 알고 있다, 니 몸은 알고 있다

이런 차원은 아니고 의식의 표면에 떠오르는 것 말이지요.

아마 문학에서 의식의 흐름이라고 할 때

그 의식

끊임없이 속닥거리는 바로 그것을 말한다고

이해해야 할 것입니다.

 

이것을 신경과학에서 다루는 방식은

작업기억이라는 불리는

operating system으로 보는 것입니다.

 

시각-청각-후각-미각-촉각 등을 통한 인지를

(그런데 이때의 인지는 니 몸은 알고 있다 수준의 인지입니다.

의식의 표면에 떠오르지 않습니다)

특수시스템이라고 한다면

작업기억은 만능시스템인데요. 모든 특수시스템의 정보처리를 결합하고

또 결합한 정보를 전달해서 각 특수시스템의 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

뭐 이런 사령부와 같은 기능을 담당한다고 합니다.

 

만능시스템이 있는 곳

작업기억이 일어나는 뇌의 영역은 전전두피질이라고 합니다.

 

전전두피질은 3층 구조로 되어있다고 하는데

중간층은 특수시스템으로부터 정보가 들어오는 통로( 그러니까 감각피질로부터 들어오는 시냅스가 많이 있다 bottom up- 는 것이고),

가장 아래층은 집행기능에 관여하고 있다고 여겨집니다. (그러니까 전전두피질에서 나가는 방향의 시냅스가 많다 top down-)

가장 위층인 겉껍질 (외측전전두피질이라 부름 영장류에만 발달)에서

고등한 인지작용이 일어나리라 예측됩니다.

실험관찰은 주로 원숭이나 총상을 당한 전두엽손상환자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수준은

이것 봐라고 했을 때 과연 그것을 볼 수 있는가?

하는 정도라고나 할까요.

외측전전두에 손상을 입으면

이게 잘 안된다는 것이죠.

그거라도(?) 할려면

잊지 않고 주의를 기울이는 능력이 있어야 하는데

그게 없다는 거죠.

그래서는 의식적인 행동조절이랄까

이런 고등한 작용(* *)은 못하는 거죠.

그리고 이러한 수준의 집중력을 발휘하는 데는

도파민이라는 신경조절물질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뇌를 공부하다 보니까 평소 사소하게 보았던 것(아니 사소해서 거의 보이지 않았던 것)이 아주 대단해보이는 장점이 있어요.

시인처럼님은 세상에 쓸모없는 것이란 없구나 하는 말로 이러한 감회를 표현하셨는데

저의 소감은 인간의 몸(뇌)을 받는 것이 얼마나 귀하냐 라고 하는 말을

조금은 이해할 것 같은 기분이라고 할까요   

    

논의되었던 문제로는

1. 메타적인 시냅스라고 했나 그런 것이 존재하는지

2. 죽은 사람의 뇌을 통해 그 사람의 신체적 인격적 특징을 시냅스 차원에서 스캔하다고나 할까 그런 것이 가능한지

3. 베네트와 해커가 신경과학의 철학적 기초(라기 보다는 오류)를 어떻게 생각해야 하는지

이 있었는데

 

1은 시인처럼님이 하신 질문인데 봄날님과 제가 그게 바로 작업기억 이라고 당연하게 말해버리고 말았는데요. 지금 생각해보니까 시인처럼님이 하신 질문은 작업기억보다 더 메타적인 것을 말하신 것이었어요. 운명인지 우연인지 같은 수준을 말씀하신 것이었어요. 그죠?

이걸 대답할 때는 더 이상 메타에 대한 질문이 나올 수 없게끔 대답해야 하는데요

그걸 못하는거죠. 저는 이게 화두가 아닐가 싶은데 

 

2도 역시 시인처럼님의 질문인데 자연님은 그러한 사고방식은 뇌결정론이고 위험하다, 죽은 뇌는 발화하지 않는다-뇌사- 하시면서 가능하지도 않고 바람직하지도 않다고 하셨어요.

 

3은 베네트와 해커가 제가 일원론이라 생각하고 있는 견해들을 데카르트 줄에 세워놓아서 (말하자면 콸리아는 레스 코기탄스의 변종일뿐이다 라고 해서) 나름 무척 헛갈리고 있던 부분이 대한 이야기였는데요. 이걸 쓰자면 너무 길어지니까 생략하는데자연님이 사실은 한방에 날려주셨어요. 그건 베네트와 해커의 견해일뿐이라고…… 고민해결 감사합니다.

 

 

여기서 마칩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고쳐주세요.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9 Mind in Life 아홉 번째 모임 [2] 自然 2010.12.04 4344
58 Mind in Life 여덟 번째 모임 [10] 自然 2010.11.24 4443
57 Mind in Life 일곱 번째 모임은 11월 11일 목요일 저녁 7시~ [2] 시인처럼 2010.11.03 5503
56 다음 모임 10월 28일 7시 [1] 自然 2010.10.25 5052
55 Mind in life 다섯 번째 모임은 10월 15일 금요일에 합니다. [5] 시인처럼 2010.10.08 4631
54 Mind in Life 세 번째 모임, 9월 15일에 합시다~. [2] 시인처럼 2010.09.08 5128
53 Mind in life 두 번째 모임은 8월 20일입니다. 시인처럼 2010.08.12 5857
52 Mind in life 1차 후기 happysong 2010.08.02 5390
51 온생명론연구모임, 다음은 7월 30일(금) 입니다~. 시인처럼 2010.07.19 6748
50 Evan Thompson의 Mind in Life를 보려고 합니다. [10] file 시인처럼 2010.07.09 6813
49 6월 4일 온생명론 연구모임 정리 [1] 시인처럼 2010.06.08 6194
48 온생명론 연구모임 5월부터의 공부 방식 [4] 시인처럼 2010.05.08 6344
47 양자역학의 서울해석에 대한 단상 [2] 타임헌터 2010.04.13 7998
46 온생명론 연구모임 4월부터 공부 계획 [3] 시인처럼 2010.03.30 6565
45 시냅스와 자아 마무리 [1] happysong 2010.02.13 7033
44 르두 시냅스와 자아 5차 모임 공고 [3] 自然 2010.01.29 5901
43 존 설의 중국인(어) 방 논변(사고실험) [1] 自然 2010.01.22 17756
42 해석의 문제 [5] 타임헌터 2010.01.20 5470
» 르두 4차 후기 [8] happysong 2010.01.19 4985
40 온생명에 대한 단상 [8] 타임헌터 2010.01.14 4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