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녹색아카데미

이모작님이 바쁘신 것 같아서, 간단하게 6월 모임 예비공지를 살짝 올려둡니다.


장소는 오랜만에 길담서원이 되겠습니다. 

날짜는 6월 8일(토)입니다.

시간은 언제나와 마찬가지로 14:00-18:00입니다.


목요일(6월 6일)이 휴일인 것이 모임에 영향을 줄지 조금 염려도 됩니다.


이번 6월 모임의 연사는 이모작님입니다.

지난 번 말씀으로는 주제가 조금 바뀌었다고 하신 것 같은데, 작년 12월에 정한 바로는 "마르크스주의와 생태학"입니다. 눈사람님이 올려 주신 것에는 "마르크스주의와 생태학"으로 되어 있는데, 아마도 여기에서의 '생태학'은 ecology의 번역어로서 오히려 '생태주의'에 가까울 것이라고 저는 짐작하고 있습니다. 먹이사슬, 먹이그물, 극상, 천이 같은 개념이 나오는 '생태학'이 주된 관심을 아닐 듯 해서 말이죠. 물론 정확한 것은 발표자가 다시 알려주시리라 생각합니다.


제가 아는 것은 이전에 이모작님의 추천으로 존 벨라미 포스터가 쓴 "마르크스의 생태학: 유물론과 자연"을 조금 읽어본 정도입니다. 저자가 직접 [월간 비평](Month Review)에 실은 아래의 글에 그 책의 내용이 잘 요약되어 있습니다.


http://monthlyreview.org/press/books/pb0122/


foster_ecology.jpg                                마르크스생태학_igsr.jpg


흔히 진보는 자연의 정복을 필요로 한다고 하고, 마르크스가 자본주의 사회의 다음 단계에 대해 살피면서 생산력과 생산구조 사이의 모순에 주목했다는 것이 정설이겠습니다. 그런 점에서 마르크스는 생산력의 발전을 아주 중요하게 여긴 것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포스터가 밝히고 있듯이, 마르크스의 관점은 그보다 훨씬 더 세련된 것이었던 모양입니다. 이 책에는 칼 마르크스뿐 아니라 토마스 맬더스, 루트비히 포이어바흐, 프루동, 윌리엄 페일리 등도 등장합니다.


변증법적 자연주의 내지 변증법적 생태주의를 제안하는 존 벨라미 포스터의 생각이 상당히 참신하게 느껴집니다.


이전에 "지속가능한 발전"(sustainable development, 정확히는 "지탱할 수 있는 발전")에 대해 말할 때, 생태주의적으로 좋은 것은 발전이 없는 게 아니겠는가, 발전을 꼭 전제해야 하는가 하는 의견도 나온 적이 있습니다만, 녹색문명을 고민하는 우리의 관심에 비추어 볼 때, 마르크스주의도 꼭 짚어보고 가야 할 대목이 아닌가 싶습니다.


[월간 비평](Monthly Review) 홈페이지에 가면 오른쪽 위에 "Climate & Capitalism"(기후와 자본주의)이라는 단추가 있습니다.

거기를 클릭하면


http://climateandcapitalism.com/


로 가게 됩니다. "사회생태주의 아니면 야만: 제3의 길은 없다"라는 구호에서 여기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것이 "사회생태주의"일 것이라는 짐작을 하게 됩니다. 마르크스주의와 생태주의에 대해 아예 한 모듬을 할애하고 있습니다.


http://climateandcapitalism.com/category/marxism-ecology/


혹시 아래의 책이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보았습니다.


마르크스와_반자본주의_생태학.jpg 


그런데.... 왜 이런 책들은 하나같이 책 표지가 녹색일까요? ^^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 2014년에는 좋은 일만 가득 하시길 빕니다 [3] 自硏 自然 2014.01.03 5727
83 12월 녹색문명공부모임 [14] file 눈사람 2013.11.11 7406
82 11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독초(유독식물)의 세계" [14] file 눈사람 2013.10.30 7738
81 10월 녹색문명공부 모임 - 침팬지와 인간 사이 [13] file happysong 2013.09.29 9103
80 '세포와 세포막을 통해 바라본 생명의 신비' 이수재 박사 강연 (2013년 9월 10일(화) 7시 30분, 길담서원) [4] 이모작 2013.09.08 10222
79 9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생태시민성' + '파시브하우스, 살아보니' [13] file 눈사람 2013.08.27 11289
78 8월 녹색문명 공부모임: 생태시민성 [20] file 바다 2013.07.20 13225
77 7월 녹색문명 공부모임: 문명의 붕괴: 드미트리 오를로프의 다섯 단계 [27] file 自硏 自然 2013.06.16 15076
76 6월 모임의 주제를 바꾸고자 합니다. [1] 이모작 2013.06.05 13066
» 6월 모임 예비공지: 마르크스주의와 생태주의 [6] file 自硏 自然 2013.05.27 14898
74 5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창경궁의 숲 [17] file 산지기 2013.05.07 14833
73 5월 녹색문명 공부모임은 숲에서 (예비공지) [3] file 自硏 自然 2013.05.03 13883
72 2012 녹색문명공부모임 자료집 [9] file 눈사람 2013.04.30 14522
71 4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파시브하우스 지어보니 [37] file 눈사람 2013.04.01 14933
70 3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원자력 에너지와 방사능 (따스민) [29] 눈사람 2013.03.01 15101
69 2월 16일 녹색문명공부모임: 빛과 생명과 에너지 [21] file 自硏 自然 2013.01.21 29037
68 1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신재생에너지는 왜 보급이 잘 안되는 것일까? [8] Lain 2013.01.07 16772
67 2013년 녹색문명공부모임 [20] file 눈사람 2012.12.14 17841
66 12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2012 주제발표 몽땅 논의 & 자료집 [7] file 눈사람 2012.11.18 18425
65 장회익 선생님의 강연회 소식 [8] 自硏 自然 2012.11.12 15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