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녹색아카데미

2010-화두(1)

2010.01.07 11:43

타임헌터 조회 수:5141

 

“용어의 정확한 정의는 불필요한 논쟁을 줄여 줍니다.”



(1) <의식>의 문제


데카르트는 감각할 수 있는 존재인 육신을 ‘res extensa’라고 불렀습니다.

그리고 감각할 수는 없지만 육신과 달리 사물을 인식하는 또다른 ‘그 무엇’이 존재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리고 이를 ‘res cogitans’라고 불렀습니다.

‘인식의 주체’인 ‘그 무엇’을 데카르트는 하나의 개체로 보았습니다. 이른바 <의식>이라는 개념의 시작입니다.

 

 

그런데 <의식>이 하나의 개체로 대접받기 위해서는 스스로를 하나의 개체로 인식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래서 인식의 주체로서의 <의식>은 결국 “나”라는 존재를 의미하는 개념이 됩니다.

즉 <의식>이라는 개념은 “나”를 의미함으로써 실체화하게 되는데, 실체화란 또한 개체화를 의미하기도 합니다.

이렇게 <의식>은 개체화됨으로써 육신과 대비되는 위치에 이르게 됩니다.

그리고 육신과 대비되는 하나의 개체로 자리잡은 <의식>은 마침내 ‘심신문제’를 낳기에 이릅니다.

 

 

‘심신문제’는 ‘심’과 ‘신’이 하나냐 아니면 둘이냐에 따라 1원론과 2원론으로 나뉘는데,

어쩌면 여기에다 1.5원론을 첨가해야 할지 모릅니다.

왜냐하면 ‘심’과 ‘신’은 하나도 아니고 둘도 아니며 다만 따라 나올 뿐이라는 김재권의 ‘심신 수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신’에서 ‘심’이 따라 나올 때,

원래 하나이던 것이 쪼개져 따라 나온다면 1원론이 될 것이고, 안에 따로 숨어 있던 것이 따라 나온다면 2원론이 될 터이니,

결국 1.5원론이란 무지로 인한 잠정적인 주장으로 보아 무시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아니면 창발성으로?)

 

 

그런데 “나”라는 존재를 인식할 수 없을 때에도 <의식>은 하나의 개체로 인정받을까요?

 

 

동물의 경우는 “나”라는 존재를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는 보이지 않습니다.

만일 “나”를 인식하는 주체만이 <의식>으로 대접받을 수 있다면 동물에게는 <의식>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야 합니다.

그런데 동물이 비록 “나”라는 존재를 인식하지 못한다고 해도 인식의 주체로서의 구실은 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일단 (1)인식의 주체로서의 <의식>과 (2)“나”를 인식하는 <의식>을 구별할 필요가 생깁니다.

 

 

종종 <의식>이라는 존재를 여러 수준으로 나누어 설명하려는 시도를 접할수 있습니다.

에델만은 <의식>의 수준을 1차/2차/고차 등으로 분류합니다.

데넷은 생물을 여러 수준으로 나누어 설명하고자 합니다.

베넷-해커는 <의식>을 타동사적/자동사적으로 분류합니다.

왜 이들은 이렇게 <의식>을 여럿으로 나누어 설명하려고 하는 것일까요?

아마도 <의식>이라는 존재가 서로 겹치지 않는 여러 상태로 표출되는 예를 발견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나”가 잠들어 있을 때 “나”의 <의식>은 어디서 무얼 하고 있는 걸까요?

그래도 잠들어 있을 때는 누군가 흔들어 깨우면 “나”의 <의식>은 어디선가 급히 돌아옵니다.

그러나 “나”가 기절한 경우는 “나”의 <의식>은 여간해서는 쉽게 돌아오지 않습니다.

이때는 “나”는 또 어디서 무얼하고 있는 걸까요?

그리고 도대체 왜 “나”는 이런 모든 걸 기억하지 못하는 걸까요?

 

 

<의식>이라는 개념은 <마음>이라는 개념과 혼용되고 있습니다.

<의식>이라는 개념은 이성적인 면이 강한데 비해 <마음>이라는 개념은 감성적인 면이 강합니다.

그래서인지 흥미롭게도 문과인 철학에서는 <마음>이라는 용어가 자주 사용되고,

이과인 뇌과학에서는 <의식>이라는 용어가 주로 사용됩니다.

 

 

그런데 <의식>과 <마음>은 과연 동일한 존재일까요?

<의식>에 관한 여러분의 정의는 무엇이고 또 <마음>의 정의는 무엇입니까?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9 르두의 시냅스와 자아 [8] 自然 2010.01.11 5467
38 2010-화두(2) 타임헌터 2010.01.07 5545
» 2010-화두(1) [5] 타임헌터 2010.01.07 5141
36 뇌의 해부학적 구조 [1] file 自然 2010.01.04 28827
35 르두 3차 정리 [1] happysong 2010.01.04 6437
34 경인년의 새해가 밝았습니다! [2] 다하늘 2010.01.03 5472
33 르두 2차 모임 후기 happysong 2009.12.18 5377
32 르두 1차 모임 정리 [12] happysong 2009.11.30 5410
31 철학적 입장들 나누기 [2] 自然 2009.11.24 6740
30 다음 모임은 르두의 [시냅스와 자아] [17] 自然 2009.11.12 5451
29 다마지오가 말하는 마음과 유식학 [2] 自然 2009.11.12 7213
28 스피노자의 뇌 3차 모임 후기 [1] happysong 2009.11.05 5277
27 올 하반기에는 "마음"에 대해서 공부를 해보기로 했습니다. [9] 시인처럼 2009.09.26 5266
26 하반기에 뭐 공부하면 좋을까 하는 생각... 시인처럼 2009.09.25 5513
25 오늘 9월 25일에 간만에 모임 갖기로 했습니다. 시인처럼 2009.09.25 5620
24 8월 8일 11시 근처에 모여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 준비합시다. 관리자 2009.08.05 8428
23 17일(금) 7시,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 준비해요~. 시인처럼 2009.07.15 6871
22 온생명론 연구모임, 7월 3일에 하죠. [1] 시인처럼 2009.07.02 6499
21 온생명론 연구모임, 금주 금요일(19일) 하면 어떤가요? [1] 시인처럼 2009.06.15 7192
20 6월 5일 온생명론 연구모임 정리 [1] 시인처럼 2009.06.09 70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