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nd in Life 후기 8 온생명공부모임후기

이래봬도 제 요리가 어린이와 강아지한테는 꽤 어필하거든요.

오늘도 멸치, 치자단무지, 김을 넣은 비빔밥과

잘 끓인 신라면으로 세 명의 어린이를 행복하게 해주었답니다.

 

~ 기분좋다 !

 

이 여세를 몰아 밀린 숙제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지난 금요일 공부한 sensorymotor subjectivity 입니다.

자연님이 감각-운동주관성이라고 번역하셨네요.

 

감각-운동 주관성 !

 

그날 발제할 때도

그랬지만 

 

이게 아는 것 같으면서도 모르겠고, 언뜻 아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가도 역시 모르겠다 싶기도 하도 ..

 

알쏭달쏭이네요.

 

감각-운동 주관성!

감각 - 운동은 living body 의 측면이고

subjectivity 는 lived body 의 측면이겠지요?

 

둘이 붙어 있다고나 할까……

그런데 그 붙어 있는 그 관계를 가장 잘 보여주는

은유가 예술작품이라는 거예요. (메를로 퐁티)

 

눈사람님은 피아노,

저는 악보 이런 이야기를 했지만

사실은 피아노, 악보가 다 필요하겠죠.

그것이 living body의 측면을 구성하는 것이고

또한 연주가의 운동도 필요하겠죠. (이것 역시 living body 입니다)

  

그런 것들이 합쳐져서 연주된 음악 그 자체 ! ( 지금 이 순간 )  

그것이 바로 주관성이라고 하네요

 

이 비유를 어떻게 생각하세요?

제가 제대로 이해한 것일까요?

 

그런데 여기서 말하는 주관성은  

바탕을 이루는 것이거든요.

이게 무슨 뜻이냐면

 

내 앞에 사과가 있어요.

내가 그 사과를 먹어요.

 

이 행동은 sense하고 motor로 해체될 수 있겠죠.

우리가 의식이라고 부르든지 주체라고 부르든지 하는 부분은

 

1.저것은 사과다. (인지)

2.사과는 맛있다. (지식)

3.나는 배고프다 (감각?)

4.저 사과는 먹어도 된다.(판단)

5.사과를 집어서 베어 먹는 운동을 할 수 있다. (매뉴얼?)

.

 

(이런 것 중 전부일 수도 있고 보기에 따라서 그 일부만 취할 수도 있겠지만)

 

sensorimotor subjectivity에서 말하는 주관성은

1, 2, 3, 4, 5 ( 5는 잘 모르겠어요) 가 생겨나는 바탕 (?)

 

~ 전혀 설명이 안되는군요.

 

거울이 있으면 그 거울에는

철수가 서면 철수 얼굴, 영희가 서면 영희 얼굴이 비칠텐데

 

철수, 영희는 1, 2, 3, 4, 5( 5는 잘모르겠어요)에 해당하고

얼굴을 비추는 거울 그 자체는 감각-운동 주관성에 해당한다

뭐 이런 뜻이 아닐까 합니다.

 

그래서 오른손이 왼손을 만지면 왼손의 느낌이 거울에 비치겠지만

왼손을 만진 오른손의 느낌도 거울에 비치겠지요.

 

그런데 우리가 주체라고 생각하는 본질적인 측면은 왼손을 느끼다가 오른손도 느껴볼까 하는 그 순간(부분)일텐요. 

 

그렇지만 그것도 거울에 비추어진 것 아니겠습니까?

그러니까 주체라고 생각하는 그것도 거울에 비치는 것 중 하나일 뿐인 것이죠

 

그래서 제 생각에는 이 논의가 향하고 있는 방향이

몸으로 표현되는 개체로서의 주체라는 의견은 잘못된 것이 아닌가 합니다.

 

여기까지가 제가 이해해보려고 애쓴 흔적입니다.

 

물론 책은 이러한 주관성을 논중하기 위해

메를로 퐁티, 훗설, 샤르트르의 개념들을 인용하였으며

지각 의식에 대한 동적 감각-운동 접근 (dynamic sensorimotor approach)라는 최근의 연구동향을 소개하면서 저자의 관점에서 본 그 의의와 한계를 지적하고 있습니다.

 

책을 읽을 때도 모르겠고

발제를 할 때도 모르겠더라구요.

제 생각이 왔다갔다 지점을

그런데 이 후기를 쓰면서 다소 정리가 되지 않았나 합닏.

 

다음 번 모임도 기대해봅니다.

(애들은 아직까지 지치지 않고 노는데 저는 지쳐서 급마무리)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Leave Mes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