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신문의 <기술 속 사상> 기획연재글
2009.10.17 13:30
앞에 올린 글에서 이야기한대로 이번 학기 저도 잘 모르는 내용을 그때그때 공부해가면서 강의를 하다보니
비교적 쉽게 보면서 맥락을 가늠할 수 있는 자료를 많이 찾게 됩니다.
한겨레신문에서 2006년에 연재했던 <기술 속 사상>이라는 기획연재글이 있었는데요,
관심있는 비전문가들에게 아주 유용한 자료군요.
제가 링크들을 모아 쭉 정리를 해 봤습니다.
저만 알고 있으면 좀 아까우니 같이 나눠 봅시다요~.
한겨레신문 <기술 속 사상> 연재글 (2006.4.13 ~ 2006.11.23)
- 기술 속 사상 (1) 기술이란 무엇인가
- 기술 속 사상 (2) 하이데거의 기술철학
- 기술 속 사상 (3) 기술 시스템과 자율적 기술 - 쟈크 엘륄
- 기술 속 사상 (4) 인간과 기술 공생 강조 - 돈 아이디
- 기술 속 사상 (5) 급진주의자 - 브뤼노 라투르
- 기술 속 사상 (6) 기술시스템이론 - 토모스 휴스
- 기술 속 사상 (7) 기술의 사회구성론
- 기술 속 사상 (8) 기술 진화론
- 기술 속 사상 (9) 기술과 여성
- 기술 속 사상 (10) 기술과 정치
- 기술 속 사상 (11) 기술과 전쟁
- 기술 속 사상 (12) 기술과 예술
- 기술 속 사상 (13) 기술과 건축
- 기술 속 사상 (14) 기술과 상징
- 기술 속 사상 (15) 시계의 역사
- 기술 속 사상 (16) 시대의 경관으로서의 철도기술
- 기술 속 사상 (17) 통신기술의 발달
- 기술 속 사상 (18) 항공기술의 발달
- 기술 속 사상 (19) 인터넷
- 기술 속 사상 (20) 산업혁명과 마르크스
- 기술 속 사상 (21) 테일러주의와 엔지니어의 꿈
- 기술 속 사상 (22) 대량생산 대중소비, 포드주의
- 기술 속 사상 (23) 포스트포드주의
- 기술 속 사상 (24) 신경과학과 윤리
- 기술 속 사상 (25) 생명공학의 비전
- 기술 속 사상 (26) 휴머노이드와 사이보그
- 기술 속 사상 (27) 나노기술의 세계
- 기술 속 사상 (28) 유비쿼터스 기술의 양면성
- 기술 속 사상 (29) 현대 기술연구와 사회적 합의
- 기술 속 사상 (30) 지속가능한 기술
- 기술 속 사상 (31) 연재를 마치며 - 기술의 사회적 책임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13 |
신경과학의 철학적 기초와 뇌, 마음, 언어
[2] ![]() | 自然 | 2009.11.25 | 13120 |
12 | Plan B 4.0 이 나왔는데 공부 좀 해 볼까요? [4] | 시인처럼 | 2009.11.10 | 25551 |
11 |
장회익 선생님의 새 책이 나왔습니다
![]() | 自然 | 2009.11.06 | 12836 |
» | 한겨레신문의 <기술 속 사상> 기획연재글 [1] | 시인처럼 | 2009.10.17 | 14897 |
9 | 한겨레신문의 <의학 속 사상> 기획연재글 [1] | 시인처럼 | 2009.10.17 | 15036 |
8 | 500년 전의 난지도 | 自然 | 2009.09.08 | 13738 |
7 | 병 때문에 오히려 조심하게 되었다는 옛 글 하나 | 自然 | 2009.08.27 | 14861 |
6 |
기후변화 관련해서 꼭 봐야할 자료, 뭐 있을까요?
[5] ![]() | 시인처럼 | 2009.07.21 | 17372 |
5 | 뉴스레터 몇 가지 | 그러게요 | 2009.07.21 | 14681 |
4 |
어떤 뉴스레터 구독하시나요?
[1] ![]() | 시인처럼 | 2009.07.19 | 16393 |
3 | 니콜라스 스턴의 기후변화와 경제 보고서 | 自然 | 2009.07.12 | 16221 |
2 | 다윈이 남긴 것 (강연 동영상) | 自然 | 2009.06.08 | 15637 |
1 |
21세기 석유정점론의 고전, The End of Cheap Oil (1998)
![]() | 시인처럼 | 2009.06.08 | 20159 |
ㅋ 저도 이 연재 아주 재미있게 읽었더랬습니다. 아무래도 물이 좁은지 필자 전체가 아는 분이었다는...^^
그 때는 제대로 몰랐는데, 역시 현대사회에서는 '과학'보다는 '기술'이 더 힘이(또는 인기가) 좋은 것 같습니다.
그런데 원래 신문기사 연재의 제목은 훨씬 더 '대중적'인데 (가령, "현대기술아 제발 ‘닦달’하지 마", "건축가와 컴퓨터 밥그릇 싸움할판" 등) 그런 제목을 빼니까 조금 어려워진 느낌이 듭니다. 지금 제가 스크랩(링크 모음)해 놓은 것을 보니 25번까지 하고 멈췄네요. 그게 2006년 10월이었으니 벌써 3년이 흘러 버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