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8월 온생명작은토론회 준비글 작은토론회/강좌 관련글


 

이 글을 대하는 자세 : 학문 밖에서 사유하기

 

 생명은 기계이다 / 아니다

 

1. 생명과 기계

 

 비슷한

 

1) 움직임 (위치의 이동이나 상태의 변화)

2) 메커니즘

인과관계를 안다.

 

생명과 비슷한 기계

 

* 인간이 만든 기계가 생명체처럼 움직인다면

외부적으로 보아 자극과 반응에서 생명체와 같은 행동를 한다면

예를 들어 짚신벌레와 정확히 똑같이 움직이는 기계짚신벌레

 

그 기계가 생명이 되지 못하는 이유

 

1 만들어지는 과정이 다르다

2 재료가 다르다

3 설계도와 설계자가 있다 (혹은 인간이다)

 

* 질문하는 방법

 

온생명론 :  어떠한 법칙적 그리고 물질적 요건이 갖추어져야 생명(현상)이 가능한가?

자체생성론 : 지구에 어떠한 성질의 구성물이 나왔을 때 생명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는가?

 

2.  인과관계

 

복잡한 기계 - 복잡하다는 것은?

 인과관계가 복잡하다.

 

1 복잡해도 쪼개어서 부분을 파악할 수 있고 그렇게 파악된 부분을 이어서 전체를 파악할 수 있다.

2 인과관계를 알 수 없게 복잡할 수 있다. 인과관계란 인간의 인지구조의 일부인데 그러한 구조로는 파악할 수 없다.

3 ?  복잡해도 쪼개어서 부분을 파악할 수 있지만 그렇게 파악된 부분을 모두 합친다 해도 전체는 알 수 없다.

 

* 인과관계가 있다

인과관계가 없다

인과관계가 있고 알 수 있다.  

인과관계는 있지만 알 수 없다. 

 

* 인과관계란 없다.

결과가 먼저 오고 원인이 나중에 온다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원인과 결과가 돌고 돈다 -  터미네이터

    --à 말이 안 된다.  

 

* 과학적 앎은 인과관계가 있고 알 수 있다 에 해당한다.

  복잡하다고 해서 인과관계란 없다는 것은 아님  

 

(반론)

 

법칙 : 인과관계를 안다는 것은 법칙적 관계를 안다는 것이다.

      원인 결과 : 법칙 성립 : 인과관계 있음

원인 결과 : 법칙 성립하지 않음 : 인과관계 없음

원인 결과 : 인과관계가 없다는 법칙이 성립함 

 

인과관계가 없다는 법칙에 대한 앎은 과학적 앎이라 할 수 있다.

 

3. 설계자와 설계도

 

기계는 만들어 진 것.  생명은?

 

* 만들어 진 것이다 :

 조물주가 만들면 생명이 될 수 있고 인간이 만들면 될 수 없다.

   인간이 만들어도 생명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면 생명이다.

    만들어졌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인간행위의 유비

만들어졌다는 생각 때문에 생겨나는 사유패턴은? 

누가 만들었는가? / 잘 만든 것과 못 만든 것 /

 

*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생겨난 것이다. 어떻게 생겨난 것인가?

 

1아무렇게나 생겨난 것은 아니다.

 

  법칙적용

  1단계 물질에 적용되는 법칙

              

( 시간의 필연과 만남의 우연 )

  

  2단계 생명에 적용되는 법칙 : 생명은 생명을 유지하려고 한다.

생명도 결국은 물질로 되어있는데 생명이 유지되고 있는 한 물질과 구별.

      차이 발생 (내가 아니다)

     

    * 온생명에 대한 낱생명의 의미

      낱생명에 대한 온생명의 의미       

    

      - 세포들이 연합하여 유기체를 만든다.

- 차이들이 조화를 이루어서 다른 차원의 생명이 생겨난 것)    

      - 대내적으로 차이이지만 대외적으로 동일

- 유기체의 생명과 세포의 생명

        ( 온생명과 낱생명의 관계와 유사)

 

      - 그래서 차이들이 조화를 이루어 또 다른 차이를 이루기 위해 동일화될 필요가 있을 때( 그것은 혼자서는 도저히 이룰 수 없는 것이니까) 우리는 동일화를 받아들일 수 있다.            

 

        * 인간의 경우도 적용될 수 있을지 어떠한 반론을 가능한지 검토   

         

2계획적(혹은 목적적)으로 생겨난 것은 아니다.

   계획 또는 목적이 있다. (의미의 문제는 해결) - 독단의 문제가 생김

- 설계자가 있다.

- 설계자가 하나다 / 여럿이다.

- 설계도 있다 / 설계도 없다  

4.  인지 / 정보

 

   * 기계가 인지할 수 있는가?

 

만들어진 기계라면 설계자가 기계를 어떻게 설계할 것인가에 달린 문제 

 

 

1) 계산

2) 구조적 연결

3) 다이나믹 시스템s

 

  가지 방법 중 어떤 방법이 생명과 가장 유사한 기계를 만들 것인가?

 

생명과 같이 설계자가 없이 저절로 생겨나는 기계라면 ?

 

물질은 인지하지 않는다.

물질은 반응하다.

생명현상은 반응의 연속선상에 있다. 

물질의 반응과 다른 점이 있다면 반응의 결과가 항상 생명의 유지로 이어져왔다 혹은 이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 인지를 반응으로 본다면 정보는?

 

통상 인지를 정보를 받아들이는 과정으로 이해함.

바깥의 정보를 받아들인다.

정보처리과정 혹은 주체 - 주체의 상태가 있음

주체의 상태에 맞게 받아들인 정보를 처리함

 

정보처리과정과 반응의 차이 :

정보처리과정에는 표상 /  기호가 필요하다..

 

그런데 정보처리과정이 아니라 반응이라면 표상/ 기호는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

혹은 어디에서 나왔는가?

 

 

---- 어불성설  횡설수설을 경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끝이 아닌 끝 ! 

 

Leave Mes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