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여름 과학과 메타과학 함께 읽기 후기 작은토론회/강좌 관련글

과학과 메타과학 강좌 후기

 

책의 1부가 끝났으니 후기를 써보도록 할까요?

 

매시간 강좌를 준비해오시고 너무나 많은 정보를 제공해주시는 자연님!

 

고맙습니다.

 

물리학에 관한 무슨 질문이든 대답을 해줄 수 있는 사람을 알고 있다니 대단한 행운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이해한 정도로만 후기를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아주 짧게 !

 

순서는

 

1. 과학적 설명의 특징

2. 과학이론의 구조

3. 상대성이론 

4. 양자역학의 서울해석

  

1. 과학적 설명의 특징

 

세상에 여러 가지 설명 방식이 있다. 그 중에 과학적이라는 자격을 얻기 위해서는 어떠한 요건을 갖추어야 하는가? 이런 문제를 다루었고 가설연역체계반증가능허용성(?) 같은 요건들을 알게 되었습니다.

 

2. 과학이론의 구조 :

 

과학적 요건을 갖춘 설명이 하나가 아니라 여럿이 될 수 밖에 없을 때, 어떻게 여러가지 과학적 설명이 있을 수 있는가? 그것들은 공존하는 것일까? 하나만 옳고 나머지는 틀린 것인가? ( 문제상황을 정확히 표현했는지는 모르겠네요.. 제가 이해하기로) 

 

이와 관련하여 과학혁명이론, 의미기반이론 등등 여러 가지 분석방식을 공부했습니다.

 

3. 상대성이론

 

어제 공부한 것인데요. 저는 일생 처음으로 상대성이론을 가지고 진짜 생각을 한 것 같아요. 보통 시간은 절대적이고 속도가 상대적이라고 생각하지만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시간이 상대적이고 빛의 속도는 절대적이라는 것이죠(?). 이것을 약간이라도 알게 되다니 정말 기쁜 일이지요.

 

4. 양자역학의 서울해석

 

아직 이해를 못했어요. 내가 뭘 모르고 아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지요.

 

(1) 무엇을 해석하는가?

 

(서술모형이 뭐죠? 양자? 광자? - 죄송합니다) 하여튼 일단 양자라고 하고 양자의 움직임이 관찰할 때와 관찰하지 않을 때 서로 달라진다. 관찰유무에 따라 달라지는 양자의 움직임/ 그리고 그 움직임이 관찰하지 않을 때는 어느 곳이라도 가도록(?) 움직이다가 관찰할 때는 어느 정도 일정한 위치에 가있도록 움직인다.

 

A . 움직임이 달라지는 이유와  B. 움직임의 패턴

 

A B 둘 다 해석의 대상인가요?

 

B 부분만 해석의 대상이 아닌가요?

 

(2) 어떻게 해석하는가?

 

여러 가지 해석방식이 있어지만 생각나는 것이 코펜하겐 해석과 서울해석인데요

 

관찰할 때 움직임 수축된다(?) 이러한 해석을 하는 것이 코펜하겐 해석이라면 서울 해석은

해석을 할 수 없고 해석을 할 수 없는 이유를 설명하는 것이지요? 해석을 할 수 없는 이유가 메타영역이기 때문이라는 것이지요? 지금 이해한 것이 맞다면 저는 왜 그것이 메타영역의 문제인지를 모르는 것이군요. 일단 여기까지 쓰고 오늘 모임을 기대해봐야겠습니다. 

 

 

 

 

    

  


Leave Mes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