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이 늦었습니다. 이모작님이 말씀하시는 '생태학'은 생물학의 한 분과로 생물의 환경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을 가리키는 것인지요? 혹은 영어로는 같은 ecology이지만, 학문분야라기보다는 사상적 조류로서의 '생태주의'를 가리키는 것인지요? 마르크스주의와 관련된 생태학, 특히 예전에 이모작님이 추천해 주신 존 벨라미 포스터의 "마르크스의 생태학"과 관련된 것이라면, 아마 '생태주의' 일반을 가리키시는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아마 관련될 수 있을 만한 책으로 일단 제 서가에 꽂혀 있는 것 몇 권을 재빨리 적어 보겠습니다.
로빈 에트필드 (구승회), 환경윤리학의 제문제, 따님, 1997.
문순홍, 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 나라사랑, 1992.
양명수, 녹색윤리, 서광사, 1997.
한면희, 환경윤리: 자연의 가치와 인간의 의무, 철학과현실사, 1997.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교양환경론, 따님, 1995.
환경연구회, 환경논의의 쟁점들, 나라사랑, 1994.
새삼 보니 15년쯤 전에 사서 읽었던 책들이네요. 아무래도 처음 읽은 책이어서인지, 문순홍 선생의 책이 여러 모로 유익했던 것 같습니다. 이 책은 원래 문순홍 선생의 박사학위논문을 확장한 것인데, 특히 2장 "녹색적 사유를 구성하는 유파들"을 보면 생태주의 사상들을 여러 가지로 진단하고 분류하고 있는 것이 유용합니다. 그림 2.1에 1970년대 이후의 논의로 네 가지 사상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답이 늦었습니다. 이모작님이 말씀하시는 '생태학'은 생물학의 한 분과로 생물의 환경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을 가리키는 것인지요? 혹은 영어로는 같은 ecology이지만, 학문분야라기보다는 사상적 조류로서의 '생태주의'를 가리키는 것인지요? 마르크스주의와 관련된 생태학, 특히 예전에 이모작님이 추천해 주신 존 벨라미 포스터의 "마르크스의 생태학"과 관련된 것이라면, 아마 '생태주의' 일반을 가리키시는 게 아닌가 생각합니다. 아마 관련될 수 있을 만한 책으로 일단 제 서가에 꽂혀 있는 것 몇 권을 재빨리 적어 보겠습니다.
로빈 에트필드 (구승회), 환경윤리학의 제문제, 따님, 1997.
문순홍, 생태위기와 녹색의 대안, 나라사랑, 1992.
양명수, 녹색윤리, 서광사, 1997.
한면희, 환경윤리: 자연의 가치와 인간의 의무, 철학과현실사, 1997.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교양환경론, 따님, 1995.
환경연구회, 환경논의의 쟁점들, 나라사랑, 1994.
새삼 보니 15년쯤 전에 사서 읽었던 책들이네요. 아무래도 처음 읽은 책이어서인지, 문순홍 선생의 책이 여러 모로 유익했던 것 같습니다. 이 책은 원래 문순홍 선생의 박사학위논문을 확장한 것인데, 특히 2장 "녹색적 사유를 구성하는 유파들"을 보면 생태주의 사상들을 여러 가지로 진단하고 분류하고 있는 것이 유용합니다. 그림 2.1에 1970년대 이후의 논의로 네 가지 사상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근본생태론[deep ecology] (Merchant, Snyder, Capra, Naess, Devall, Sessions)
사회생태론[social ecology] (Bookchin)
생태사회주의[ecosocialism] (Bahro, Ryle, Gorz, Trampert)
생태마르크스주의[eco-Marxism] (Altvater, O'Conner, Agger, Benton)
제 서가를 다시 보니 오랜 전에 그러게요님의 추천으로 사 놓고 별로 읽지 못한 논문집 하나가 눈에 띕니다.
George Sessions ed. (1995). Deep Ecology for the 21st Century: Readings on the Philosophy and Practice of the New Environmentalism, Shambhala.
문순홍 선생의 유고선집
생태학의 담론, 아르케.
정치생태학과 녹색국가, 아르케.
도 필독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