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의 끝을 찾아서(이강환): 우주 가속 팽창의 발견, 있을 수 없던 우주 이야기
2014.06.02 17:32
우주는 얼마나 클까? 우주는 얼마나 더 오래 갈까? 우주에 끝이 있긴 할까?
우주라는 문제는 생각만 해도 온갖 상상의 나래를 펼치게 만드는 매혹적인 주제임에 틀림없다.
아인슈타인이 1917년에 일반상대성이론을 통해 우주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그리고 우주가 어떤 모습인지 알 수 있다고 제안했을 때만 해도, 사람들의 상상의 나래는 기껏해야 은하계 정도였을 것이다. 1920년대에 이르러 우리 은하 말고도 수없이 많은 외부 은하들이 있음이 밝혀졌고, 드디어 1960년대에는 대폭발(빅뱅) 우주론의 경험적 증거들까지 발견되었다.
그래도 1990년대 이전만 해도 우주가 점점 더 한없이 커지리라고 생각하지 않았었는데, 이제 우리는 가속팽창하는 우주 속에 살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지난 4월 30일에 출판된 따끈따끈한 책 한 권이 이 모든 궁금증에 아주 속시원한 답을 주고 있다. 책 제목은 "우주의 끝을 찾아서"이고, 일종의 부제라 할 수 있는 작은 제목으로 "우주 가속 팽창의 발견", "있을 수 없던 우주 이야기"라는 멋진 어구가 표지에 있다.
저자는 이강환이란 분인데, 저자 소개는 다음과 같다.
"서울대학교 천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천문학 박사학위를 받은 뒤, 영국 켄트 대학에서 로열 소사이어티 펠로우로 연구를 수행했다. 현재 국립과천과학관에 재직하면서 천문 분야와 관련된 시설 운영과 프로그램 개발을 담당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신기한 스쿨버스’ 시리즈와 『세상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우리는 모두 외계인이다』(공역), 『우리 안의 우주』 등이 있다."
목차를 보면 전반적인 이야기가 잘 드러난다.
Ⅰ. 가속 팽창하는 우주
1. 우주의 비밀을 알고 싶어 하는 사람들 45
2. 빈 공간에서 나오는 에너지? 51
Ⅱ. 우주의 거리는 어떻게 측정할까?
1. 별까지의 거리를 구하다 67
2. 표준 광원 76
3. 커지는 우주 92
4. 잘못된 거리 측정과 허블 상수 111
5. 우리는 모두 별의 잔해 123
6. 초신성과 별의 죽음 137
7. 거리 측정의 열쇠, Ia형 초신성 144
Ⅲ. 우주 가속 팽창의 발견
1. 초신성 탐색을 시작하다 155
2. ‘초신성 우주론 프로젝트 팀’의 구성 160
3. 누가 더 좋은 망원경을 더 오래 사용하는가 174
4. 초신성, 확실한 표준 광원이 되다 179
5. ‘높은 적색편이 초신성 탐색 팀’의 추격 185
6. 더욱 정교해진 거리 측정 방법 199
7. 초신성 우주론 프로젝트 팀의 앞선 성과들 213
8. 감속 팽창하는 우주? 221
9. “안녕, 람다”230
10. 노벨상 공동 수상으로 끝난 두 팀의 경쟁 243
11. 암흑물질과 우주의 줄다리기 254
Ⅳ. 우주는 정말 가속 팽창하는가?
1. 검증대에 오른 Ia형 초신성 271
2. 이상한 먼지들? 278
3. 멀리 더 멀리 285
4. 우주배경복사와 빅뱅 우주론 294
5. 우주 탄생의 비밀을 간직한 우주배경복사 308
6. 인플레이션 우주론, 빅뱅 이론의 한계를 해결하다 319
7. 또 하나의 가속 팽창의 근거, 은하들의 분포도 327
8. 우주의 미래, 그리고 암흑에너지의 정체는? 332
참고문헌 340
찾아보기 344
프레시안북스의 아래 서평은 이 책에 대해 아주 적절하고 친절하게 소개하고 있다.
조금씩 보고 있는데요, 설명이 잘 돼 있어요. 뭔가 이해가 되는 신기한 현상 발생중. '우주의 끝'이 궁금하신 분께 강추합니다. (갑자기 녹스가 보굽파지는 건 왜일까요. 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