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녹색아카데미

후생유전학(epigenetics)

2009.04.09 20:05

自然 조회 수:8969

어제 모임에서 모처럼 산지기님이 오셔서 모임이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 생물학과 관련된 얘기가 화제가 되었습니다.
어제 대화에는 별로 끼어들지 않았는데, 요즘 다윈의 [종의 기원] 강독에 끼어서 귀동냥한 게 있어서, 몇 자 적습니다.

어제 얘기의 화제는 라마르크의 소위 '용불용설'이 완전히 틀린 게 아니라는 최근의 논의와 관련되어 있었습니다.
(참고: http://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343355.html )

대략 말하면, 라마르크가 [동물철학]에서 많이 사용하는 기관과 사용하지 않는 기관이 세대를 거듭함에 따라 더 발달하거나 퇴화한다는 주장을 전개했다고 하고, 이를 용불용설 내지 용불용이론(use disuse theory)이라 부릅니다. 이것은 소위 '획득형질은 유전되지 않는다'는 주장에 따라 잘못된 것으로 평가됩니다.

그런데 이전에 우리가 보았던 안셀-피어슨의 [생명의 싹]에 따르면, 라마르크를 이런 식으로 단순화시키고 이를 다윈의 학설과 대립된 것으로 보는 입장은 오히려 신다윈주의(neo-Darwinism)이며, 라마르크가 용불용설을 주장했다고 하는 것도 사실은 신라마르크주의(neo-Lamarckism)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신다윈주의와 신라마르크주의의 대립에서 용불용설을 배격한 것은 오스트리아의 생물학자 아우구스트 바이스만(August Weismann)이었다고 합니다.

요즘 라마르크와 더불어 다시 논의되고 있는 것은 소위 후생유전학(epigenetics)인데, 엘리엇님의 논평에 따르면 프랜시스 크릭의 소위 '중심설'에 대한 반례를 주로 연구하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가령 위키피디어의 다음 항목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http://en.wikipedia.org/wiki/Epigenetics
http://en.wikipedia.org/wiki/Central_dogma_of_molecular_biology

단백질의 변형과 관련된 프리온(prion)도 후생유전학과 연관되는 모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