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녹색아카데미

 

신재생에너지는 왜 보급이 잘 안되는 것일까?

 

공해도 없고, 지구가 존재하는 한 계속 이용할 수 있을 것( sustainable 하다!)같은 재생에너지는 외 보급이 더딘 것일까?

과연 비용대비 효율이 그렇게 떨어지는 것인가? 단순히 효율 이외에 부외 효과 이산화 탄소 절감 한다던가, 고용을 창출한다던가, 에너지 해외 의존도를 낮춘다던가 하는 것은 충분히 고려되고 있는가?  태양광 발전사업자는 전력을 판매해서 돈을 벌기도 하지만, 나름 그 숫자가 적당히 많다면 해당 지역내에서 전력 예비율을 조금이라도 올리는데 기여하는 하는데, 즉 정부 일을 대신해주는데 충분히 보상을 받고 있는 것일까? 생산되는 전력이 바로 그 근처에서 소비되는 경우 송배전 (T&D: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cost)을 조금이라도 줄여줄여주고, 송전설비건설로 인한 별도의 사회적 비용 (밀양 송전탑 사건을 기억하시라) 또한 절감효과가 클 텐데 그런 사회적 가치는 충분히 고려되는 것일까?

이런 내용들이 유명 연예인, 정치인 들의 가쉽거리 못지 않은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부각이 잘 안되는 이유가 있는 것일까?

재래에너지 (conventional energy : 화력, 원자력 등)를 옹호하는 잘 보이지 않는 사회조직들에 의한 음모론 신재생에너지의 보급을 느리게 하고자 하는 과연 있는것인가?

 

올해로 10년째 신재생에너지업에 종사하지만 위보다 10배는 더 많은 질문이 개인적으로 끊이지 않는다. 내심 작년부터 2013년도에는 신재생에너지 관련 발표를 하겠다고 마음먹고 있지만 발표를 1주도 남겨 놓지 않는 상태에서도 어떤 방향으로 글을 정리할지 쉽게 결정이 되지 않는다. 욕심 같아서는 사회경제학적 관점에서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성장 문제에 대해 분석하고, 관련 기술/설비를 이용 관리하는 주체로서의 인간에 대해서는 인류학에서 말하는 호모 라보란스(homo laborans, 일하는 인간)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싶지만 본인의 소양 부족을 절감하여 차후로 미루고자 한다.

그 대신에 주위에서 보거나, 뉴스 등에서 접하게 되는 신재생에너지 기술의 현재 기술 수준, 전력 또는 열의 생산 원가, 시장에서 기존 에너지와 경쟁, 그런 경쟁과 보급을 결정하는 보이는 또는 보이지 않는 손에 대해서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궁극적으로는 적절한 수준의 에너지를 생산 소비하고, 문명의 이기들을 충분히 누리면서도 현재보다는 보다 sustainable society로 접근할 수 는 방법은 무엇일까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을 갖는 것에 의미를 두었으면 한다.

 

<관련 서적, 웹사이트>

Oil peak, renewable energy, 신재생에너지 등으로 서점, 인터넷에서 검색하시면 무한한 자료를 접할 수 있을 것이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 2014년에는 좋은 일만 가득 하시길 빕니다 [3] 自硏 自然 2014.01.03 5727
83 12월 녹색문명공부모임 [14] file 눈사람 2013.11.11 7406
82 11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독초(유독식물)의 세계" [14] file 눈사람 2013.10.30 7738
81 10월 녹색문명공부 모임 - 침팬지와 인간 사이 [13] file happysong 2013.09.29 9103
80 '세포와 세포막을 통해 바라본 생명의 신비' 이수재 박사 강연 (2013년 9월 10일(화) 7시 30분, 길담서원) [4] 이모작 2013.09.08 10222
79 9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생태시민성' + '파시브하우스, 살아보니' [13] file 눈사람 2013.08.27 11289
78 8월 녹색문명 공부모임: 생태시민성 [20] file 바다 2013.07.20 13225
77 7월 녹색문명 공부모임: 문명의 붕괴: 드미트리 오를로프의 다섯 단계 [27] file 自硏 自然 2013.06.16 15076
76 6월 모임의 주제를 바꾸고자 합니다. [1] 이모작 2013.06.05 13066
75 6월 모임 예비공지: 마르크스주의와 생태주의 [6] file 自硏 自然 2013.05.27 14898
74 5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창경궁의 숲 [17] file 산지기 2013.05.07 14833
73 5월 녹색문명 공부모임은 숲에서 (예비공지) [3] file 自硏 自然 2013.05.03 13883
72 2012 녹색문명공부모임 자료집 [9] file 눈사람 2013.04.30 14522
71 4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파시브하우스 지어보니 [37] file 눈사람 2013.04.01 14933
70 3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원자력 에너지와 방사능 (따스민) [29] 눈사람 2013.03.01 15101
69 2월 16일 녹색문명공부모임: 빛과 생명과 에너지 [21] file 自硏 自然 2013.01.21 29037
» 1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신재생에너지는 왜 보급이 잘 안되는 것일까? [8] Lain 2013.01.07 16772
67 2013년 녹색문명공부모임 [20] file 눈사람 2012.12.14 17841
66 12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2012 주제발표 몽땅 논의 & 자료집 [7] file 눈사람 2012.11.18 18425
65 장회익 선생님의 강연회 소식 [8] 自硏 自然 2012.11.12 15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