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녹색아카데미

images (2).jpg images (3).jpg


일시 : 10월 12일 (토) 오후 2시

장소 : 길담서원 (경복궁역)


안녕하세요. 10월에는 침팬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침팬지를 통해 인간의 모습을 보는 것입니다. 

왜 침팬지인가? 세가지 계기가 있었습니다. 

첫째는 대형유인원계획입니다. 작년 발표를 위해 피터 싱어의 책을 읽고 '유인원계획'이라는 운동을 하는 사람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몰라도 제러드 다야몬드의 '제3의 침팬지'와 같은 맥락에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즉 인간이 제3의 침팬지거나 아니면 침팬지가 인간과 같은 호모속(호모 사피엔스의 호모^^)에 속한다고 주장하는 것입니다. 그 주장에 대해 조금 더 공부해보고 싶었습니다. 

둘째는 제인구달입니다. 작년 발표를 준비하는 기간 중 미장원에서 우연히 제인 구달의 '희망의 이유'을 읽고 많은 감동을 받았습니다. 당연히 제인 구달과 침팬지에 대해 더 알고 싶었습니다. 

셋째는'프로젝트 님'이라는 다큐멘터리입니다. 제게 특히 인상깊었던 부분은 '책임'에 대한 것입니다. 모든 사랑에 책임이 따르겠지만 동물을 사랑하는 일에 따르는'책임'에 대해 고민을 하게 되었습니다. 인간의 왕국에서 동물과 공존하는 문제라고 할까요? 


하여튼 이 모든 계기의 공통분모는 바로 침팬지였습니다. 그래서 침팬지를 발표하기로 한 것입니다. 

발표내용 역시 위의 사항이 최대한 반영되도록 하겠습니다. 


그럼 침팬지와 인간의 사이가 얼마나 가깝고도 머언지 

궁금하신 분은 자유롭게 오시면 되겠습니다. 


(사진설명)왼쪽 사진은 침팬지와 제인구달, 

오른쪽 사진은 침팬지 님과 님의 가정교사(?)입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84 2014년에는 좋은 일만 가득 하시길 빕니다 [3] 自硏 自然 2014.01.03 5727
83 12월 녹색문명공부모임 [14] file 눈사람 2013.11.11 7406
82 11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독초(유독식물)의 세계" [14] file 눈사람 2013.10.30 7738
» 10월 녹색문명공부 모임 - 침팬지와 인간 사이 [13] file happysong 2013.09.29 9103
80 '세포와 세포막을 통해 바라본 생명의 신비' 이수재 박사 강연 (2013년 9월 10일(화) 7시 30분, 길담서원) [4] 이모작 2013.09.08 10222
79 9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생태시민성' + '파시브하우스, 살아보니' [13] file 눈사람 2013.08.27 11289
78 8월 녹색문명 공부모임: 생태시민성 [20] file 바다 2013.07.20 13225
77 7월 녹색문명 공부모임: 문명의 붕괴: 드미트리 오를로프의 다섯 단계 [27] file 自硏 自然 2013.06.16 15076
76 6월 모임의 주제를 바꾸고자 합니다. [1] 이모작 2013.06.05 13066
75 6월 모임 예비공지: 마르크스주의와 생태주의 [6] file 自硏 自然 2013.05.27 14898
74 5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창경궁의 숲 [17] file 산지기 2013.05.07 14833
73 5월 녹색문명 공부모임은 숲에서 (예비공지) [3] file 自硏 自然 2013.05.03 13883
72 2012 녹색문명공부모임 자료집 [9] file 눈사람 2013.04.30 14522
71 4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파시브하우스 지어보니 [37] file 눈사람 2013.04.01 14933
70 3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원자력 에너지와 방사능 (따스민) [29] 눈사람 2013.03.01 15101
69 2월 16일 녹색문명공부모임: 빛과 생명과 에너지 [21] file 自硏 自然 2013.01.21 29037
68 1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신재생에너지는 왜 보급이 잘 안되는 것일까? [8] Lain 2013.01.07 16772
67 2013년 녹색문명공부모임 [20] file 눈사람 2012.12.14 17841
66 12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2012 주제발표 몽땅 논의 & 자료집 [7] file 눈사람 2012.11.18 18425
65 장회익 선생님의 강연회 소식 [8] 自硏 自然 2012.11.12 15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