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녹색아카데미

2015년 2월 녹색문명 공부모임

自硏 自然 2015.01.28 12:02 조회 수 : 2798



2015년 2월 녹색문명 공부모임에는 유용미생물군 (EM균)에 대해 초청강연을 듣고 함께 이야기를 나눌 예정입니다. 


  • 일시: 2015년 2월14일(토) 14:00-18:00 (오후 2시-6시)
  • 장소: 길담서원
  • 발표: 이창홍 (EM환경센타 기술위원)
  • 내용: 유용미생물군 (EM균)의 생태계와 온생명론의 관계



유용미생물군(有用微生物群, ゆうようびせいぶつぐん, Effective Microorganisms、EM)은 일본 오키나와의 류큐대학에 있는 히가 테루오(比嘉照夫) 교수가 1994년에 발표한 개념입니다. 히가 테루오 교수는 1980년대에 80여 종의 미생물을 적합한 비율로 섞어 주면 유기물 분해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발표했고, 이를 환경농업 내지 유기농업에 적용하기 시작했습니다. 



em_img_02.jpg 


(그림출처: EM환경센타http://emcenter77.cafe24.com/ ) 



발표를 해 주실 이창홍님은 한국에서 처음 EM균을 도입하여 보급해 오고 있는 EM환경센타 이사장이자 EM환경농업학교 학교장이신 이영민 이사장의 막내아들이기도 하고, 히가 테루오 교수에게 배운 EM의 선구자입니다. 아래 링크에 있는 동아일보 기사에 더 상세한 소개가 나와 있습니다.


*******

[사람과 삶|유용미생물(EM) 연구 제주도 이영민·이창홍 부자] (동아일보)


4월3일 제주도 서귀포의 한 귤밭을 찾았다. 한창 짙푸른 잎사귀가 솟아오르고 있는 귤나무 사이사이로 민들레, 도라지꽃, 개불알꽃 등이 흐드러지게 피었다. 땅을 한 삽 퍼 올렸더니 초콜릿 색깔의 건강한 흙이 모습을 드러낸다. 쇠똥구리가 굴려놓은 똥 덩어리처럼 동글동글한 흙 알갱이 틈바구니에서 지렁이가 꿈틀댄다. 흙 한 줌 집어 코에 가져다 대니 향긋하다고 할까, 향내가 난다. 농약이나 화학비료를 전혀 쓰지 않고 15년 가까이 유용미생물(EM·Effective Micro-organisms) 퇴비로 농사짓고 있는 이영민(71) EM환경센타 이사장의 귤밭이다.


...


유용미생물이란 효모, 유산균, 광합성 세균 등을 말한다. 이들 미생물은 자연과 인간의 몸에 유용한 작용을 하는데, 공생할 때 더 큰 시너지 효과를 낸다. 이들은 서로의 배설물을 먹이로 삼으면서 활성산소를 없애고 부패를 막는 등 ‘유용 활동’을 펼친다. 유용미생물은 1979년 일본 오키나와 대학의 히가 데루오 교수에 의해 발견됐는데, 우리나라에 EM을 들여와 연구·보급 활동을 펼치고 있는 장본인이 바로 이영민 이사장이다. 그의 아들 이창홍(40) 이사는 일본으로 건너가 히가 교수 밑에서 EM을 연구, 석사 학위를 따고 돌아와 아버지와 함께 EM환경센타를 이끌고 있다. 이 이사장은 “나는 농업인들에게 EM 농법을 가르치는 일을, 아들은 환경이나 산업 분야에 EM 활용방안을 연구·보급하는 일을 맡고 있다”고 소개했다.


... 


이제 그의 귤밭은 ‘EM 농법의 표본’이 됐다. EM 농법에 관심 있는 농업인들이 꼭 들러 견학하는 명소가 된 것이다. 그는 97년 EM농업학교의 문을 열었는데, 지금까지 4000여 명이 EM 농법을 배워갔다. 현재 제주도에서만 350여 명이 EM을 활용한 친환경 농업 및 축산업을 하고 있고, 올해 신지식농업인으로 선정된 충북 다살림 영농조합법인 이욱희 씨, 제주도 원일EM양계 최강일 씨 또한 그의 수제자다.


EM이 제주도를 넘어 육지로, 농업을 넘어 환경과 산업 분야로 확대된 것은 이영민 이사장의 아들, 이창홍 이사 덕분이다. 2남2녀 중 막내아들인 이 이사는 제주제일고, 서울대 물리학과를 졸업한 제주도의 소문난 수재. 그러나 아버지는 아들에게 ‘함께 이 길을 걷자’고 제안한 적이 없다. “아버지와 함께 EM을 연구·보급하는 데 평생을 바치겠다”고 선언한 것도, “일본에 건너가 EM을 배워오겠다”고 한 것도 아들 스스로 내린 결정이었다.


“아버지는 큰형은 공부만 시키고 저는 밭일만 시키셨어요.(웃음) 물리학자가 되고 싶어 서울대에 진학했지만, 민주화운동을 하면서 ‘고향에 내려가 평생 농사일을 하고 살자’고 맘먹었습니다. 졸업 후 고향에서 농사일을 하다가 어느 날 아버지가 스크랩해둔 히가 교수의 글을 읽게 됐습니다. ‘생명과 환경은 공존하면서 진화한다’는 그의 이야기에 크게 감명받았습니다. 그리고 EM 연구에 평생을 바치기로 결심했어요.”


이 이사는 신혼 여행지로 오키나와를 택했다. 그곳에서 히가 교수를 만나고 돌아와 아버지에게 “일본으로 유학 가겠다”고 했다. 하지만 이 이사장은 “유학 보낼 돈이 없다”며 아들을 말렸다. 히가 교수가 나서서 장학금을 마련해준 덕분에 이 이사는 유학길에 올랐다. 99년 석사 학위를 받고 돌아온 그는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EM의 연구 및 보급 활동을 시작했다.


이영민·이창홍 부자는 “사람들이 EM을 농약 대체품 정도로 생각할 때 가장 섭섭하다”고 했다. EM은 좀더 좋은 효과를 거두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농업의 근간, 환경의 근간을 바꿔준다는 것이다. 이 이사장은 “EM 농법의 핵심은 EM으로 토양의 질을 바꾸는 데 있다. EM으로 토양이 건강해지기만 하면 여타의 농업기술은 그다지 필요 없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 이사는 “EM의 확산은 살균(殺菌)에서 정균(淨菌)으로 패러다임을 옮기는 것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깨끗한 환경을 위해서는 미생물을 모두 없애는 게 지금의 패러다임입니다. EM은 유해미생물은 모두 없애고 유용미생물만 살게 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미생물의 공존 상태에서 해법을 찾습니다. 항산화 환경만 마련해주면 유용미생물이 번성하면서 유해미생물은 제 힘을 잃게 마련입니다.”


************



아래는 위키백과에 있는 관련 논문들의 목록입니다. 1994년 무렵만 해도 EM의 효능에 대한 실증적 연구가 별로 없었는데 최근 10여년 사이에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Effective_microorganism 


  • Higa, Teruo; James Parr (1994). "Beneficial and Effective Microorganisms for a Sustainable Agriculture and Environment". Atami, Japan: International Nature Farming Research Center. p. 7. 
  • Myint Lwin; S.L. Ranamukhaarachchi (2006). "Development of Biological Control of Ralstonia solanacearum Through Antagonistic Microbial Popul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Agriculture & Biology. 8(5), pp 657–660.
  • Szymanski, N.; Patterson, R.A. (2003). R.A. and Jones, M.J. (Eds)., ed. "Proceedings of On-site '03 Conference". Armidale, NSW, Australia: Lanfax Laboratories. pp. 347–354. ISBN 0-9579438-1-4. 
  • amada, K.; Xu, H. L. (2001). "Properties and Applications of an Organic Fertilizer Inoculated with Effective Microorganisms". Journal of Crop Production 3: 255. doi:10.1300/J144v03n01_21.
  • JXu, H. L. (2001). "Effects of a Microbial Inoculant and Organic Fertilizers on the Growth, Photosynthesis and Yield of Sweet Corn". Journal of Crop Production 3: 183. doi:10.1300/J144v03n01_16. 
  •  Pei-Sheng, Y.; Hui-Lian, X. (2002). "Influence of EM Bokashi on Nodulation, Physiological Characters and Yield of Peanut in Nature Farming Fields". Journal of Sustainable Agriculture 19 (4): 105. doi:10.1300/J064v19n04_10. 
  • Xu, H. L.; Wang, R.; Mridha, M. A. U. (2001). "Effects of Organic Fertilizers and a Microbial Inoculant on Leaf Photosynthesis and Fruit Yield and Quality of Tomato Plants". Journal of Crop Production 3: 173. doi:10.1300/J144v03n01_15. 
  • Daiss, N.; Lobo, M. G.; Socorro, A. R.; Brückner, U.; Heller, J.; Gonzalez, M. (2007). "The effect of three organic pre-harvest treatments on Swiss chard (Beta vulgaris L. Var. Cycla L.) quality". European Food Research and Technology 226 (3): 345. doi:10.1007/s00217-006-0543-2. 
  • Daiss, N; Lobo, M. G.; Gonzalez, M (2008). "Changes in postharvest quality of Swiss chard grown using 3 organic preharvest treatments". Journal of food science 73 (6): S314–20. doi:10.1111/j.1750-3841.2008.00842.x. PMID 19241576. 
  • Chui, C. H.; Hau, D. K.; Lau, F. Y.; Cheng, G. Y.; Wong, R. S.; Gambari, R; Kok, S. H.; Lai, K. B.; Teo, I. T.; Leung, T. W.; Higa, T; Ke, B; Tang, J. C.; Fong, D. W.; Chan, A. S. (2006). "Apoptotic potential of the concentrated effective microorganism fermentation extract on human cancer cells".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medicine 17 (2): 279–84. PMID 16391827. 
  • Datla, K. P.; Bennett, R. D.; Zbarsky, V; Ke, B; Liang, Y. F.; Higa, T; Bahorun, T; Aruoma, O. I.; Dexter, D. T. (2004). "The antioxidant drink effective microorganism-X (EM-X) pre-treatment attenuates the loss of nigrostriatal dopaminergic neurons in 6-hydroxydopamine-lesion rat model of Parkinson's disease". Journal of Pharmacy and Pharmacology 56 (5): 649–54.  
  •  Ke, B; Xu, Z; Ling, Y; Qiu, W; Xu, Y; Higa, T; Aruoma, O. I. (2009). "Modulation of experimental osteoporosis in rats by the antioxidant beverage effective microorganism-X (EM-X)". Biomedicine & Pharmacotherapy 63 (2): 114–9. doi:10.1016/j.biopha.2008.03.008. PMID 1893062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4 4월 녹색문명공부모임 공지 [4] file 눈사람 2015.03.28 4243
103 3월 녹색문명공부모임 공지 [5] file 산지기 2015.02.28 3836
102 2015년 공부모임 계획 [8] 눈사람 2015.02.23 2361
101 3월 녹색문명공부모임 예비공지 [1] 自硏 自然 2015.02.23 2331
» 2015년 2월 녹색문명 공부모임 [5] file 自硏 自然 2015.01.28 2798
99 2015년 새해 첫 녹색문명 공부모임 공지 [7] file 自硏 自然 2014.12.28 2626
98 녹색문명공부모임 12월 모임 공지 [10] 自硏 自然 2014.11.12 2796
97 11월 녹색문명공부모임 예비공지 [11] 自硏 自然 2014.10.21 2958
96 10월 녹색문명공부모임: 속도와 규모의 윤리 문제 [3] 시인처럼 2014.10.06 2632
95 녹색문명공부모임 10월 예비공지 [5] file 自硏 自然 2014.09.24 2717
94 녹색문명공부모임 9월 모임 [29] file 산지기 2014.08.25 3131
93 녹색문명공부모임 9월 예비공지 [3] file 自硏 自然 2014.08.20 2676
92 2014년 8월 녹색문명공부모임 공지 <생명을 어떻게 이해할까?> 7장 [13] file 그러게요 2014.07.18 3330
91 7월 녹색문명공부모임 공지 [13] file 눈사람 2014.06.28 2629
90 6월 녹색문명 공부모임 공지 [18] file 自硏 自然 2014.05.19 3310
89 5월 녹색문명 공부모임 공지 [4] file 自硏 自然 2014.04.29 3549
88 녹색문명공부모임 4월 공지 [15] file 自硏 自然 2014.03.10 4234
87 2014년 3월 모임 안내 [7] 그러게요 2014.02.26 3808
86 (2014년 3월 모임 안내) Earth from Space & 탐구 계획 발표 [3] file 그러게요 2014.02.10 3838
85 "생명을 어떻게 이해할까"를 어떻게 이해할까요? (2014년 2월 모임 안내) [7] file 그러게요 2014.01.13 52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