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녹색아카데미

6월 녹색문명 공부모임 공지입니다.

  • 일시: 2012년 6월 9일 토요일 2시-6시
  • 장소: 경복궁역 인근 길담서원
  • 주제: 광우병을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 - 미국산 쇠고기는 안전하다! / 위험하다!  2탄
  • 발표: 이수재 (산지기)

 

산지기 입니다.

여러분의 성원(..^^)에 힘입어 지난달에 이어 다시 한번 광우병을 주제로 발표를 하게 되었습니다.

지난달 발표 준비때보다 부담감은 오히려 더 크게 느껴지는데

정작 지난달 발표 때 준비한 자료만 믿고 멍 때리고 있는 중입니다..^^;;

 

 

광우병을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 : 미국산 쇠고기는 안전하다! / 위험하다!   2탄

 

Tested in South Korea.jpg

 

위이 그림은 제가 지난달 발표한 슬라이드 자료의 표지에 있는 그림으로,

Scientific American이라는 미국의 대중 과학 잡지의 2004년 7월호에 실린 광우병 관련  글에 실렸던 것입니다.

미국 잡지의 글이니만큼 위 그림의 분석장소는 미국 내의 어느 실험실일 것으로 생각을 했었는데

알고보니 한국의 어느 분석 연구실에서 쇠고기의 원산지를 조사하고 있는 현장이었습니다.

 

이 글이 발표되기 전해인 2003년 말에 미국에서 처음으로 광우병 소가 발견되었고

이 때문에 미국은 쇠고기 수출에 큰 타격을 받게 됩니다.

한국은 미국 입장에서는 일본, 멕시코와 함께 빅3에 들어가는 시장이었던 만큼

과학잡지 속의 위 그림은 미국의 한국 쇠고기 시장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는 상징적인 그림이 아닐까 합니다.

 

지난달 제가 발표 할 무렵만해도

한국 정부의 농림수산식품부나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홈페이지에 가면

광우병 관련 내용이 메인 화면에 자리잡고 있었는데

지금은 한쪽 구석으로 밀려나 있더군요.

우리 사회의 관심이 이미 미국산 쇠고기와 광우병에서 멀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예가 되겠지요.

그렇다고 미국산 쇠고기가 광우병으로부터 안전하다고 결론이 진 것은 아니죠.

단지 다른 이슈들에 묻혀 있을 뿐인 것이고

그 안전성에 대한 논란의 여지는 여전히 있다고 봐야할 것입니다.

 

지난달에 이어 이번달에 제가 발표하고자 하는 내용은

 

1. 전염성 질병으로써의 광우병에 대한 정리

지난달 발표에 대한 정리와 함께 전염성 질병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합니다.

아마도 생명의 정의에 대한 문제까지도 언급될 수 있을듯. 

 

2. 쟁점을 통한 광우병에 얽힌 과학/사회/정치적 갈등 소개

  • 비정형 광우병 / 축산정책(사료정책. 이력제)에 대한 논란은 지난달에 이미 다루긴 했지만 다시 한번 다루고자 합니다.
  • 각국의 쇠고기 수입조건에 대한 비교
  • 기타 여러 쟁점들 - 검역주권의 문제, 한국인의 광우병에 대한 취약성 논쟁 등등

3. 전문가(과학자)간의 대립을 통해 본 과학의 역할과 한계

과연 과학은 광우병 문제에 대해서 얼마나 정확한 답을 줄 수 있는 지를 같이 얘기했으면 합니다.,

아울러 아직 해결되지 않은 광우병 관련 문제점들을 살펴보려 합니다.

 

4. 광우병 이후 우리는..

광우병이 전세계를 강타하게 되었던 것은 결국 축산업 경영 효율화에 기인한 바가 크고

한국 사회를 요동치게 만든데는 여러 측면에서 결국 한미 FTA에라는 문제가 있다고 볼 수 있는데

그렇다면 앞으로는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지를 같이 논의해 보면서 발표를 마칠까 합니다.

이 부분은 제가 따로 준비하기 보다는 참석하신 분들의 의견을 교환하는 방식이 좋을 것 같구요,

이 과정에서 여러 생태 관련 논의들이나 동물복지축산 나아가 FTA 관련 사안들까지도 얘기될 수 있지 않을가 생각합니다.

 

촛불_01.jpg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4 11월 녹색문명공부모임 -SF의 상상력이 빚어낸 지구 문명의 미래 [11] file 수수한 2012.11.05 17404
63 10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인간과 동물 [28] file happysong 2012.09.18 17457
62 9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다카기 진자부로 이야기 [13] file 눈사람 2012.08.25 15248
61 7월 녹색문명 공부모임 -칼폴라니 거대한 변환 소개 [17] file 박인구 2012.06.10 17965
» 6월 녹색문명 공부모임 - 광우병을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 2탄 [8] file 산지기 2012.06.06 12730
59 6월 녹색문명 공부모임 예비공지: 광우병을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 제2탄 file 自硏 自然 2012.06.05 14834
58 5월 녹색문명 공부모임 - 광우병을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 [19] file 산지기 2012.05.08 13161
57 5월 녹색문명 공부모임 예비공지: 광우병 이야기 [3] file 自硏 自然 2012.05.07 12382
56 4월 녹색문명 공부모임 "서울 전세 빼서 파시브하우스 짓기" [10] file 自硏 自然 2012.04.10 17870
55 3월 녹색문명 공부모임: 인간과 기계 사이, 노버트 위너와 질베르 시몽동의 기술철학 [14] file 自硏 自然 2012.02.28 14933
54 녹색당(준) 하승수 변호사에게 듣는 '녹색당 이야기'~ [2] 시인처럼 2012.02.06 17896
53 2월 녹색문명모임 ㅡ 빅뱅우주론 맛보기 [21] 녹스 2012.02.01 14984
52 1월 모임은 현 세계 경제 위기에 대해서 [16] 시인처럼 2012.01.06 14374
51 12월 모임 - 2011년 녹색문명공부모임 되돌아보고 자료집 만들기 의논 [17] file 눈사람 2011.11.23 14313
50 올해 발표했던 글들 다듬어서 묶어봅시다. 시인처럼 2011.11.11 22219
49 11월 모임에선 우리가 지금 무슨 공부를 해야 할지 이야기를 나눠 보려고 합니다. [3] 시인처럼 2011.11.01 15090
48 10월 8일엔 강신주 박사와 온생명론에 대해 이야기를 나눕니다. [3] file 시인처럼 2011.10.02 20947
47 9월 녹색문명 공부모임 17일 "삶과 온생명"에 관하여 [10] file 自硏 自然 2011.08.31 13374
46 8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과학 [11] 산지기 2011.08.01 15320
45 8월 녹색문명 공부모임 간단한 소개 [3] file 自硏 自然 2011.07.28 12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