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녹색아카데미

올해는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를 8월 정기모임 날에 하자고 연초에 이야기를 모았죠?

8월 모임은 8월 11일이고요.


헌데 이제 한 달 보름 정도 앞에 왔는데 어떻게 어떤 내용으로 누가 준비할지 아무 것도 정해진 것이 없습니다.

논의를 해보려고 몇 달 전부터 시도를 했지만 모임하기에 급급해서 따로 이야기를 나눌 시간이 없었군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아서 생각하고 준비할 수 있는 여지의 폭이 넓지 않습니다만

홈페이지 상에서라도 이야기를 나누고 준비를 해보았으면 합니다.

이 글에 댓글 달아가면서 이야기를 나누면 좋겠어요.


저도 별로 아이디어가 없습니다만 일단 오늘 약간 생각한 거라도 말문 떼기 위해서 적어봅니다.


<눈사람 아이디어>

  • 올 6월에서 7월 사이 장회익 선생님의 신간과 <과학과 메타과학> 개정판이 나오니 선생님 새책을 읽고 이 책의 내용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방식으로 토론회를 했으면 한다는 의견.
<시인처럼 아이디어>
  • 작년 강신주 박사 초청 모임처럼 우리 모임 밖에서 온생명론에 대해 이야기를 해 줄 분을 초청하기에는 상당히 늦어버림. 누군가를 초청해 그 분의 준비된 발표를 듣고 이야기를 나누는 방식으로 하려면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를 몇 달 뒤로 미루고 8월에는 다른 주제로 정기모임을 하는 것도 한 방법.
  • 지난 해까지 하던 방식대로 우리 모임 식구들이 나름대로 공부하고 글을 써와서 이야기를 나누는 방식으로 하려면 좀 더 주제를 좁게 잡아서 준비를 했으면 하는 바람.
    • 한 가지 아이디어는 작년 11월 강신주 박사가 제기한 여러 가지 문제 중 하나를 잡아서 고민의 주제로 삼는 것.
    • 강신주 박사가 중요하게 지적한 한계나 발전 전망은 "온생명론의 실천적 전망", "온생명론의 사후적 인식", "보생명론의 정교화"... 등이었던 듯.
    • 이 중 '온생명론의 실천적 전망'이란 점에 대해서 고민을 해보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문득...
오늘 저녁부터 고민하기 시작해서 저도 별 생각이 없습니다. 다만 작년 강신주 박사 초청 발표 때의 발표글과 토론 내용을 여러 차례 읽어 보면서 더 고민을 해보아야겠다는 정도만이 현재까지의 가닥이네요.
댓글로 이야기를 함께 나눠보면 좋겠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 온생명 공부방 1호 [1] 이모작 2016.01.16 5439
18 8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온생명론작은토론회 2012 [25] file 눈사람 2012.07.25 15970
» 8월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 준비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눴으면 합니다. [9] 시인처럼 2012.06.25 12511
16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 신청과 준비할 이야기 거리 [25] 시인처럼 2011.03.17 17157
15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 4월 2일에 조촐하게 하려고 합니다. [8] 시인처럼 2011.03.17 15499
14 네 번째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도 재미있었습니다. [2] file 시인처럼 2010.09.10 16657
13 8월 28일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 참석, 여기에 신청해주세요. [22] file 시인처럼 2010.08.23 17314
12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 8월 28일(토) 광덕산환경교육센터입니다. file 시인처럼 2010.08.23 19076
11 이번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는 언제 할까요? 시인처럼 2010.07.09 17265
10 세 번째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 재미있게 잘 마쳤습니다. [7] file 시인처럼 2010.03.03 18401
9 2월 27일 아산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 참가신청, 여기에 해주세요. [24] file 시인처럼 2010.02.16 17064
8 세 번째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 2월 27일 아산에서 합니다. [3] file 시인처럼 2010.02.16 18407
7 홍동 에너지전환 찾아오는 길과 그 밖의 잡다한 정보 [6] file 시인처럼 2009.08.13 17804
6 15일에 함께 놓고 이야기할 글, 여기에 올려주세요. [3] 시인처럼 2009.08.13 17460
5 장회익(1998). 인식 주체와 과학의 인식적 구조. 과학철학, 1(1) 시인처럼 2009.08.05 19545
4 2008 겨울 <물질·생명·인간 - 그 통합적 이해의 가능성> 강좌의 강연록입니다. 시인처럼 2009.08.05 19447
3 8월 15일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 참가 신청, 여기서 해주세요. [23] file 시인처럼 2009.08.05 15848
2 두 번째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를 8월 15일 홍성에서 엽니다. [2] file 시인처럼 2009.08.04 19234
1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 첫 번째 시인처럼 2009.08.05 22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