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녹색아카데미

7월 9일 녹색문명공부모임 : "Small is Possible"


  • 녹색문명공부모임 7월 모임
  • 일시: 7월 9일 토요일 2시
  • 장소: 길담서원
  • 발표: 눈사람

7월에는 라일 에스틸이라는 사람이 "Small is Possible" 소개하고자 합니다. 번역을 맡아서 전부터 읽고 있는데요, 판촉은 아니구요, 현실적이고 실질적으로 조금씩 조금씩 세상을 변화시켜가는 사람의 독특한 방식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책을 읽다보니  호이나키의 "정의의 길로 비틀거리며 가다" 생각이 나더군요. 다르긴 하지만.


라일 에스틸은 캐나다 사람인데 20 전에 미국으로 이주해서 현재 노스캐롤라이나에서 바이오디젤 장을 운영하고 있고  (http://www.biofuels.coop/), 지난 20 동안 지역에서 공동체를 만들어가고 있는 사람입니다 책은 에스틸이 에너지 블로그에  (http://www.biofuels.coop/category/energy-blog)  글들을 엮은 것입니다 사람은 원래는 캐나다에서 형제들과 함께 컴퓨터 테크놀로지와 관련된 사업을 했는데, 자신은 영업을 맡아 전세계를 누비는 비즈니스맨이었습니다. 그러던 어느날 형제 기업에서 나와서는 새로운 삶을 시작합니다.


사람이 해온 일은 생태공동체꾸리기 같은 것은 아니고, 부제 life in a local economy처럼 '지역, 동네에서 함께 살기'라고 해야할 것 같습니다. 에스틸은 평소에 시장, 자본주의, 환경문제 등에 대해서 조금씩 고민해오고 있었는데, 이런 고민이 쌓이면서 삶을 바꾸게 되죠. 미국으로 가게 되었고, 그러면 어디서 살까, 이래저래 고민하고 알아보다가 그래, 노스캐롤라이나로 가자, 내가 아는 컴퓨터 사업이니까 그걸 해보자, 때도 있었고 인터넷이 보편화되면서 안되기도 하고, 다른 일도 해보다가, 당시에 눈에 밟히고 궁금하고 해보고 싶은 일들을 하나씩 해나가다가, 특히 에너지에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현재 운영하고 있는 바이오디젤 공장을 차리게 것입니다.


에너지나 바이오디젤에 대한 책은 아닙니다. 책표지 그림 아래에 달아놓은 목차를 보시면 아시겠지만, 노스캐롤라이나의 채썸, 몬큐어, 피츠보로 등 작은 동네에서 사람들과 일하면서 살아온 이야기들을 정리한 것입니다. 제가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인상깊었던 것은, 어떤 큰 생각이나 계획에 얽매이지 않고 그때그때 사안에 맞게 열심히 진지하게 고민을 하는 이 사람의 삶의 방식이었습니다. 뻔히 눈에 보이는 현실을 외면하지 않고 왜라는 질문을 하고 현재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을 진짜 해버리면서 조금씩 조금씩 사람들과 함께 바꾸어나가는 방식입니다.


자세한 얘기는 모임 하기로 하겠습니다. ^^


(어제 공지를 올린 "도시.기계문명과 환경지각, 환경인식" 서울의 동네텃밭 얘기는 일을 진행한 결과를 가지고 소개해드리는 나을 같아서 이렇게 변경을 했습니다. 이랬다저랬다 해서 죄송합니다.)


SmallisPossble.jpg

  Part I - Funky Town
Silk Hope
Global Producers
Going to Town
A Living for One
Economic Re-Development
Main Street

  Part II - Homegrown
Connecting Ourselves
Feeding Ourselves
Housing Ourselves
Fueling Ourselves
Financing Ourselves
Educating Ourselves
Entertaining Ourselves
Healing Ourselves
Governing Ourselves
Conclusion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7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Small is Possible" [8] file 눈사람 2011.07.03 12944
43 6월 녹색문명공부모임 - 스콧 니어링의 조화로운 삶 이야기 [2] happysong 2011.06.02 19323
42 5월 모임은 '파시브하우스와 원자력발전' [4] file 시인처럼 2011.05.08 20872
41 4월 핵발전(원전)에 관해 생각해보기 [5] file 自硏 自然 2011.03.31 20636
40 3월공부모임_녹색아카데미와 그 도덕성 [18] file 박인구 2011.03.01 13489
39 구제역, 조류독감 그리고 소비자 인간 [12] Lain 2011.01.30 14411
38 투쟁이 시작되는 장소, 팔당은 에코토피아 [4] file 봄날 2011.01.05 15001
37 12월 모임은 1년을 돌아보고 내년을 계획하는 시간 [1] file 自然 2010.12.06 13247
36 10월 공부모임 - 재레드 다이아몬드의 저서를 통해 보는 문명의 미래.. [6] file Lain 2010.10.07 19164
35 9월 녹색문명공부모임, '소비와 녹색 - 나는 삼성냉장고를 사도 되는가?' [3] file 시인처럼 2010.09.08 16345
34 8월 공부모임은 장회익 선생님 <과학과 메타과학> 이야기~ [8] file 시인처럼 2010.07.19 19502
33 <과학과 메타과학> 함께 읽기 프로그램을 엽니다. [2] file 시인처럼 2010.07.16 19895
32 7월 공부모임에서는 '녹색 없는 세상 -동굴 이야기’라는 화제로 이야기를 나눕니다. [8] file 수수한 2010.07.06 12883
31 6월 모임에선 "고등교육과 녹색"이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해 볼라고요. [8] file 시인처럼 2010.06.03 12317
30 5월 녹색문명공부모임 "기후변화 교육과 녹색" [12] file 봄날 2010.05.01 12736
29 4월 녹색문명공부모임 예고 '간디와 녹색' [16] file happysong 2010.03.31 17131
28 3월 13일엔 '먹을거리와 녹색'이란 제목으로 현대농업 이야기를 하렵니다. [4] file 시인처럼 2010.03.03 15035
27 2월 6일 정기모임 "지구 온난화-기후 변화의 정치학" [10] file 녹스 2010.01.27 12818
26 1월 9일 정기모임 "녹색과 과학기술: 전기자동차 이야기" [5] file 自然 2010.01.05 11675
25 녹색아카데미 2010년 새해 달라지는 것들, 안 달라지는 것들 [1] file 시인처럼 2010.01.04 12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