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녹색아카데미

Mind in Life 10장 후기

2011.03.16 09:58

happysong 조회 수:10259

지난 금요일 온생명공부모임을 했습니다.


제목이 뭐였더라....
Look again : Mental Imagery and Phenomenological analysis (?)
한번 확인해봐야 겠군요.

시각 경험의 물론이지만 그 외 기억이나 상상력 같은 인간의 정신활동에 이미지가 동반되는데 이러한 이미지를 두고 1970년대부터 논쟁이 있었나봐요.
진영은 Pictorialists과 descriptioalists인데요.
자연님이 그림주의와 명제주의(? 앗 이것도 기억이 잘 안나네요! 설명주의라고 했나? )로 번역된다고 하셨어요.

 

두 입장 다
내용이 이미지로 떠오르는다는 것에 동의하지만 (personal level)
그것이 작동 자체 (포착해서 저장한다 / 저장된 걸 재생한다)도 이미지로 하는 것인지에 대해 (subpersonal level)
그림주의는 그렇다는 입장이고
명제주의는  그렇지 않다는 입장입니다.
그림주의는 필름카메라, 명제주의는 디지털카메라에 비유하면 어떨까 싶네요.

톰슨씨가 공감하는 이미지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론은
두 입장 모두 당연히 받아들이는 전제, 이미지로 떠오른다는 부분를 문제 삼고 있습니다.
톰슨씨는 경험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전제로
이미지를 동반하는 경험에 대한 분석 (물론 현상학적 분석입니다) 를 합니다.
사진보기, 기억하기, 떠올리기 경험에 대해 훗설, 멜로 퐁티, 쌀트르를 인용하며 분석하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내리는 결론은 이러한 경험이 다 다르다는 거죠. 이미지로 떠올릴지는 모르겠으나 뭐랄할까 그 이미지가 놓여있는 intention은 다 다른 거이죠.


 

그러면 왜 이러한 분석이 필요한가?
톰슨씨는 personal level과 subpersonal level을 분리시키는 점에서 명제주의에 동의하나 personal level를 도외시하는 점에서 명제주의를 비판합니다.
personal level(주관경험적 차원)에서 보다 더 정밀한 현상학적 분석을 해야하고 그것을 subpersonal level (메커니즘 , 정보처리신경메커니즘이라고 해도 되겠어요)에서 보다 더 적극적으로 이용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런데 현상학적 분석이라는 게 무엇을 경험한다는 결과에 대한 진술이라기보다는 어떻게 경험한다는 과정에 대한 진술이 될 것 같은데 신뢰성이랄까 그런 것을 확보하기가 쉽지가 않은 것이죠.
그래서 그런지 데넷이라는 학자는 heterophenomenology를 주장한다고 해요.

이것은 제가 이해하기로 경험자의 진술이 관찰자의 관찰과 일치할 때만 그것을 인정하는 현상학적 분석을 제시하나 봅니다.
이것에 대해 톰슨씨는 당연히 비판하죠. 내용은 많이 있는데 결국은 현상학적 분석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하네요.

(궁금하면 책읽어보시면 됩니다)

그렇다고 톰슨씨가 경험에 대한 진술을 다 받아들일만 하다는 것은 아니고 그런 것이 가능하려면 트레이닝이 필요하다고 보는 것 같아요. 그러니까 자기 경험의 과정에 대한 체험 (?)이 가능한 실험자의 경우 (예컨대 티벳승 - 제 생각이고 책에서 언급하지는 않았어요) 를 상정하는 것 같았어요.

 

책의 내용은 얼추 여기까지 인 것 같아요.

근데 이것이 앞의 내용과 무슨 상관이 있을까요?
톰슨씨는 보여주려는 것이죠.
과학과 현상학이 만나는 방법을
이것은 곧 living body와 lived body가 만나는 길이기도 하겠고
sensorymotor oraganism과 subjectivity가 만나는 방법이기도 하겠죠.

근데 경험에 대한 분석이 흥미롭기는 하지만 어렵긴 어렵더라구요.

 

이상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9 선물의 경제(학) [7] 自硏 自然 2011.08.03 11305
78 7월 12일 모임 [13] 自硏 自然 2011.07.12 11563
77 7월 14일 or 15일 온생명 공부모임및 6/24모임후기(날짜 미확정) [13] 박인구 2011.06.25 11183
76 다음 온생명론공부모임-6/23(목) !!! [19] 눈사람 2011.06.14 10071
75 6월 3일(금) 모임 "비랑의 '자아감'은 어떤 '순서'에 의해서 획득되는가?" "온생명의 주체됨" [18] 自硏 自然 2011.05.23 14133
74 2011-5-13 모임후기 [8] happysong 2011.05.19 9122
73 다음 모임은 5월 13일(금) 7시 반 대학로.. [6] 시인처럼 2011.05.08 10947
72 4월 29일 오후 7시 이음책방 [7] 自硏 自然 2011.04.27 9163
71 4월 15일 7시 이음책방 [8] 自硏 自然 2011.04.12 9332
70 온생명론 연구모임 이번엔 4월 9일(토) 12시 [6] 시인처럼 2011.04.06 11404
» Mind in Life 10장 후기 [8] happysong 2011.03.16 10259
68 Mind in Life 13차 후기 [11] happysong 2011.03.05 8943
67 2월 마지막 모임 - 2/25(금) 이음책방 [7] 눈사람 2011.02.19 10940
66 이번주 온생명론모임-2/17(목) [3] 눈사람 2011.02.15 10677
65 Mind in life 12차 후기 [2] happysong 2011.01.31 11158
64 온생명론공부모임(1/21/금) - 장소? [12] 눈사람 2011.01.18 10600
63 생명 속의 마음 열한번째 모임 후기 happysong 2011.01.10 12700
62 생명 속의 마음 열 한 번째 모임 [9] 自然 2010.12.17 10672
61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를 위하여 [5] 自然 2010.12.16 10323
60 Mind in Life 열 번째 모임 [6] 自然 2010.12.11 11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