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온생명론공부모임-6/23(목) !!!
2011.06.14 18:04
안녕하세요, 오랜만입니다. ^^
지난 토요일 녹색문명공부모임(녹색아카데미 월모임)에 참석한 몇 분들과
다음 모임 일정을 얘기해봤습니다. 6/23(목) 저녁7시, 이음책방.
봄날님, 그러게요님, 최 브라더스는 일정이 어찌 되시는지요?
그리고, 그날 발표자가 아직 안정해졌습니다. 시인처럼과 저만 빼고
모두(?) 한번씩 발표를 하셨다고 들었는데요,
이번에 제가 하면 어떨까 합니다. 조금 생각한 것들이 있는데
까먹기 전에 정리를 해서 의견을 들어보면 좋을 것 같아서요.
요즘 꾸역꾸역 읽고 있는 루이스 멈포드의 [기계의 신화] 두 권 중
1권 [Technics & Human Development] 앞부분에 문명의 발생, 인간의
인식 발생 등에 대해 다룬 부분이 있습니다. 그동안 안개같은 제 고민과
일부 만나는 데가 있더라구요. 영어인데다 읽고 지나가버려서 정리가 잘
안되지만 간략하게 얘기를 좀 해보겠습니다.
그 책 81페이지에 보면 빙하기 이전 시기에 채집하는 사람들(gatherer)이
했던 '이름붙이기'(naming)가 인식 발달과 언어 발생에 미친 영향에 대해
언급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발표 때 하구요, 이 부분을 보는 순간 제가
몇 년 전에 대충 하고 덮어버렸던 논문 생각이 나면서 머리를 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지각이든 인식이든 언어를 사용하는 인간은 이름을 붙임으로써
인식을 한다는 겁니다. 먹을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을 알아보고(identification)
재인식(re-cognition)하는 과정을 통해 원시인들에게 언어도 생기고 인식이
발달했다는 것이죠. 그러나 여기서 그 기간과 인식 발달의 단계들은 수천 년에서
수만 년 이상입니다.
저는 이 '이름붙이기'라는 것을 보생명 인식을 살펴보는 통로로 삼아보고자
합니다. 우선, 학위논문(환경 인식 과정으로서 생업의 의미 : 세어도 어부의
이야기에 나타난 고기잡이와 바다)에 사용했던 자료를 다시 꺼내, 어부들의
고기잡이와 일상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이름붙이기가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
보고 이번 모임에서 얘기를 좀 해볼까 합니다.
지난 아산작은토론회에서 이렇게 말씀드린 바 있습니다. 어부들의 이런
지각과 지식이 사라져가는 것이 온생명과 뭔가 중요한 관련이 있을 것 같은데
뭔지 잘 모르겠다고. 뭐 비슷하게 얘기한 것 같습니다. 사실 이 문제는 문화다양성
감소 문제로 이미 많이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소수 민족, 멀고 작은
섬의 문화가 급속하게 사라지는 것에 대해 유네스코에서 많이 다루고 있습니다.
저는 이 문제를, 보생명에 대한 지각과 인식의 풀(pool)이 감소함으로써
온생명을 보는 전체적인 폭과 깊이가 감소한다고 보고 싶습니다. 온우리에 대해서
아직 잘 모르지만, 저는 그 전 수준으로서 전세계의 수많은 사람들의 다양하고
부분적인 보생명 인식의 총합으로 온생명 인식이 이루어진다고 보고 싶습니다.
장회익선생님 이론의 추종자도 아니고 꼭 온생명론 안에서 논의를 해야하는 것은
아니지만, 저의 질문에서 부족했던 것과 온생명론에서 아쉬웠던 것이 이 점에서
만나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여기서 보생명 인식의 총합을, 온생명이라는
지구 전체를 보는 눈으로 보려고 합니다. 지난 번에 소개했던 리처드 세넷의
[장인]에서 나오는 작업장 내 마스터의 통찰에서 힌트를 얻었습니다.
어부들의 지각과 인식(이런 걸 local knowledge, traditional knowledge로도
부릅니다)의 상실, 즉 문화다양성의 감소 문제의 의미를 온생명론의 관점에서 보면
뭔가 부족했던 것이 채워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게요님이 온생명론에는
충실한 보생명론이 필요하다고 여러번 말했었는데, 저는 특히 그 보생명에 대한
지각, 인식이 땡깁니다. 왠지 이 책 저 책 읽고 짜맞추기 하는 것 같지요? ^^;
제가 생각이 막 달리는 경향이 있어서 저도 경계하고 있습니다. 그냥 현재까지
뭐 이런 생각을 하고 있었다, 이런 정도로 봐주시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멈포드의 책을 보면서 생각이 나 예전에 조금 봤던 [The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를 다시 꺼내 책 끝 참고문헌을 찾아봤더니, 역시나 멈포드의
책들이 시퍼렇게 쓰여 있었습니다. 몇 년 전에 멈포드를 만날 수 있었는데 말입니다.
(ㅠ.ㅠ 게으른 자의 회한과 통탄의 눈물이...)
하여튼, 이번에는 며칠 안남았으니 간단하게만 살펴보고 가려고 하구요,
혹시 발표할 만반의 준비가 된 분이 계시면 저는 다다음 모임에 해도 좋습니다.
이상이구요, 모임 일정에 대해 의견 주세요.
댓글 19
-
박인구
2011.06.15 08:48
저희는 아마도 문제 없을 듯 하네요...^^
목요일 저녁 좋습니당~
그런데.. 독일 여행후 완전히 다른 분이 되신듯한 포스가 느껴지는데요?..ㅎㅎ^^
기대됩니당...
-
그러게요
2011.06.15 12:11
저는 당분간 매주 목욜 저녁 7시까지 경기도에서 일이 있습니다.
-
自硏 自然
2011.06.15 17:31
눈사람님, 고맙습니다. 제가 제 임무를 잊고 모임 공지도 안하고 있었습니다.
멈포드는 저 또한 제대로 다시 검토해 봐야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23일 괜찮겠습니다. 24일도 가능하긴 합니다. 서울대에서 강연이 있어서 거기 참석하고 오면 7시보다 조금 늦을 것 같긴 합니다.
이음책방이면 7시 15분 정도까지는 갈 수 있지 않겠나 생각됩니다.
원래 다음 발표는 저도 후보였는데, 약간 염려되긴 하지만 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밋밋한 님 발표를 제대로 다시 들어야 할 것 같은데, 그건 언제가 좋을까요?
제 발표제목은 "기연적 접근과 둘레세계: 확장된 좀비 논변" 쯤 됩니다.
-
그럼, 다음 모임은 다음주 목요일(23일)로 하는 게 어떨까요?
이번에는 자연자연님이 오고 다음엔 그러게요님이 참석할 수 있게 목요일 아닌 날로 하구요.
금요일로 할 수도 있겠지만 자연자연님에게 무리일 것 같고, 또 모두에게 다시 물어봐야되니 그냥 목욜로.. 할까요?? ^^;
저는 발표준비가 다 돼 있는 건 아니지만 워낙 변덕이 심해서 빨리 안하면 또 삼천포 가 있을 것 같아서요,
그냥 이번에 할께요. 어설프더라도.
-
그러게요
2011.06.15 22:15
목욜마다 일이 있다고 쓴 건 당분간 참석을 못 한다는 말이지 제 상황을 고려해달란 말은 아니었다는...
걍 목욜로 하셈. 금욜이라고 해도 반드시 서울에 간다는 보장이 없답니다. 죄송..
-
박인구
2011.06.16 08:55
저는 아무때나 좋으니, 정해서 공지해 주심 되겠습니당~^^
-
自硏 自然
2011.06.16 11:48
저는 24일(금)에도 서울에서 세미나가 있구요. 23일(목)에 있는 강연이 24일에도 이어지거든요. 그래서 그러게요님이 참석하실 수 있도록 24일(금)에 모여도 좋습니다. 그러게요님이 없으니까 너무너무 아쉽고 생각나고 존재감(le sentiment de l'existence)이 느껴집니다. 그러게요님 오시면 세미나가 더 알찬 자리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너무 이랬다 저랬다 하면 복잡해질 터이니 그냥 23일에 모여도 좋겠습니다. 다만 제가 저희 모임 정해지는 대로 다른 모임을 거기에 맞추어 정해야 해서.... 최종공지 기다리겠습니다. (ㅋㅋ 이렇게 눈사람님에게 떠넘기는... 무책임감...)
발표는 눈사람님이 하시는 거죠? 죄송하게도.... 위의 댓글을 쓸 때에는 눈사람님 글에서 "이번에 제가 하면 어떨까 합니다"라는 대목을 제대로 인지하지 못한 상태였답니다. ㅜㅜ
-
그럼, 6/23(목)로 확정하도록 하지요. 발표는 어줍잖은 제가 하구요.
(근데 수수한님을 빼먹었네요.. 매우 죄송.. -,-;;)
-
박인구
2011.06.17 17:56
미리 자료를 좀 보고 갈 수는 없을까요?
잡으신 초안이나, 뭐 요약문 같은거라도..ㅎㅎ
-
그런 거 없숨다. 이제 해야 됨다.. ㅎㅎ;;
-
自硏 自然
2011.06.17 18:20
The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란 제목의 책이 의미심장해 보입니다. 구글도서에서 검색해서 대충 내용을 보았습니다. (여기)
루이스 멈포드(Lewis Mumford)란 사람을 저도 꼼꼼하게 다시 봐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
모임을 24일(금, 저녁7시)로 옮겼으면 하고 요청(밋밋한님)이 들어왔습니다. 최브라더스는 가능하실 것이고, 해피쏭님도 가능, 자연자연님도 가능, 시인처럼도 가능, 저도 가능.
수수한님, 그러게요님, 봄날님께는 제가 개별연락해볼께요. 근데 김석진샘 연락처를 모르는데, 뭐.. 방법을 찾아보겠습니다.
24일로 결정되면 다시 댓글 달께요~
-
모임 일정 확정합니다! 24일(금), 7시, 이음책방.
-
박인구
2011.06.21 14:41
네.. 짝짝짝...
-
밋밋한
2011.06.22 21:35
감사 감사~ 저 때문에 금요일로 옮겨져서 미안합니다.
눈사람 님 발표를 꼭 듣고 싶어서요. 하하
금요일에 뵈어요.
-
自硏 自然
2011.06.23 02:58
저는 7시까지 못 가고 15분쯤 늦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기다리지 마시고 바로 시작하시면 눈치 보면서 살금살금 들어가겠습니다. ^^
-
전 아쉽게도 참석이 어렵습니다. 대학 동기 모임이 선약으로 한참 전에 잡혀 있었거든요. 금요일로 옮길 때 제 일정 이야기를 미리 못한 제 탓.. ^^; 물론 동기 모임보다는 우리 모임이 더 중요하지만 '영업'을 위해서.. ^^;;
-
박인구
2011.06.24 14:00
레인님도 9시 넘어서 잠깐 오실수 있다고 하네요..^^
온생명론공부모임, 일정 체크 해주세요.
(제가 그냥 올려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