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녹색아카데미

2011-5-13 모임후기

2011.05.19 18:02

happysong 조회 수:9122

안녕하세요.

지난 금요일 온생명공부모임에서

제가 겪은 애벌레 에피소드 중 하나를 애기했는데요..

요즈음 우리 동네에서는

애벌레를 많이 볼 수 있어요.

애벌레가 움직이는 모습 참 귀엽습니다.

애벌레, 애+벌레

즉 벌레의 애기라는 뜻으로

만들어진 말이 아닐까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에 

애벌레가 나오지요

그런데 그 애벌레는 벌레의 애기 이미지가 아니라

번데기가 되기 전의

애벌레로서의 삶은 거의 끝나 가는

늙은 애벌레로 나온답니다.   

나비를 기준으로 보느냐

애벌레를 기준으로 보느냐에 따라

애벌레의 젊음과 늙음도 달라지네요.

어떠한 시간의 자로 재어야 하는가?

온생명론과 가이아론도 사용하는 시간의 자가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온생명론은 인간의 시간자를

가이아론은 지구의 시간자를

사용한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의 시간자도 인간마다 길이가 다 달라서

뭐라 하기 그렇지만 일단 한 100년 정도로 생각해볼까요? )

인간의 행동를 인간의 시간자를 사용하여 평가하는 것과

지구의 시간자로 평가하는 것이 사뭇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모임에 참석한 인원이 넷이었는데

저 포함 셋은 가이아론을 처음 접한 사람이어서

지구의 시간자를 사용한 접근이 오! 신선하다! 이런 입장이었구요. 

자연님 1인은 가이아론을 온생명론과 관련해서

이미 다룬 바가 있어 다소 식상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지구의 시간자를 사용한 접근이 통상

반인간적이라거나 과학기술에 지나치게 경도되었다는

비판을 받는다는 것을

자연님의 소개를 통해 알게 되었습니다.

인간으로서 인간의 시간자를 사용하는 것은 당연한데 굳이

지구의 시간자를 사용한 접근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지구의 시간 앞에 인간의 유한성을 인정하고 주어진 시간을 마음껏 마음대로 활용하는 것을 인정하는 것일까요? 다시 말해 인간의 창의력과 욕망을 무한히 허용하는 것일까요?

그래서 결국 정치적으로는 소수독재세력의 논리로 전락하고 마는 것일까요?

저는 이 부분에 계속 생각 중이입니다. 결론은 없어요. 

그저 지금은 지구를 죽이는 것처럼 보이는 기술이라고

도리어 지구를 살리는 상황이 올 수도 있고

결국 인간의 시간자가 한계가 있다는 것도 인정해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그렇더라도

어떤 것이든 다 허용된다는 건 아니고

어떤 최선은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만 …… 

아직은 잘 모르겠어요. ..

박인구님이 다음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간이 가져야 할 최선에 대해

발표하신다고 합니다.

(직접적으로 이렇게 표현한 것은 아님

제가 해석하기로 그렇다는 것임 ^.^ )

 

밋밋한님의 주제는

온생명의 마음이 가능한가? 하는 것인데요

자연님의 주제와 같긴 한데..

접근방법은 아주 다릅니다.

주체와 자아라는 아이디어로 접근하는데요.

마음이란 주체가 주체 자신에 대한 앎을 달성(? )(이것이 자아) 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온생명에 대해서도 주체라 부를 수 있는 양상과 그것이 자신에 대한 앎에 도달한다고 볼 수 있는 양상이 있는지를 논증해보겠다 ..고 하십니다.

(최선을 다해 이해한 내용입니다만..)

자연님의 연구와 밋밋한님의 연구가

만나게 될지, 아니면 각자의 길을 가게 될지

과연 그들의 운명은? d^o^b  

흥미진진~~~~~~~

 

이상 후기를 바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9 선물의 경제(학) [7] 自硏 自然 2011.08.03 11305
78 7월 12일 모임 [13] 自硏 自然 2011.07.12 11563
77 7월 14일 or 15일 온생명 공부모임및 6/24모임후기(날짜 미확정) [13] 박인구 2011.06.25 11183
76 다음 온생명론공부모임-6/23(목) !!! [19] 눈사람 2011.06.14 10071
75 6월 3일(금) 모임 "비랑의 '자아감'은 어떤 '순서'에 의해서 획득되는가?" "온생명의 주체됨" [18] 自硏 自然 2011.05.23 14133
» 2011-5-13 모임후기 [8] happysong 2011.05.19 9122
73 다음 모임은 5월 13일(금) 7시 반 대학로.. [6] 시인처럼 2011.05.08 10947
72 4월 29일 오후 7시 이음책방 [7] 自硏 自然 2011.04.27 9163
71 4월 15일 7시 이음책방 [8] 自硏 自然 2011.04.12 9332
70 온생명론 연구모임 이번엔 4월 9일(토) 12시 [6] 시인처럼 2011.04.06 11404
69 Mind in Life 10장 후기 [8] happysong 2011.03.16 10259
68 Mind in Life 13차 후기 [11] happysong 2011.03.05 8943
67 2월 마지막 모임 - 2/25(금) 이음책방 [7] 눈사람 2011.02.19 10940
66 이번주 온생명론모임-2/17(목) [3] 눈사람 2011.02.15 10677
65 Mind in life 12차 후기 [2] happysong 2011.01.31 11158
64 온생명론공부모임(1/21/금) - 장소? [12] 눈사람 2011.01.18 10600
63 생명 속의 마음 열한번째 모임 후기 happysong 2011.01.10 12700
62 생명 속의 마음 열 한 번째 모임 [9] 自然 2010.12.17 10672
61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를 위하여 [5] 自然 2010.12.16 10323
60 Mind in Life 열 번째 모임 [6] 自然 2010.12.11 111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