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녹색아카데미

선물의 경제(학)

2011.08.03 16:24

自硏 自然 조회 수:11305


지난 번 온생명론 공부모임에서 박인구님의 발표 중에 칼 폴라니 얘기가 나왔는데, 그 대목에서 제가 귀동냥으로 배운 '선물의 경제'(economy of gift)가 떠올랐습니다.


간단한 메모 차원에서 몇 자 적어 볼까 합니다.


우선 개념 자체를 보면, 선물의 경제는 쉽게 말해 시장경제 즉 화폐(돈)를 매개로 한 교환의 경제와 대비되는 개념입니다. 교환의 경제와 달리 댓가 없이 주는 경제시스템 내지 사회체제가 바로 선물의 경제입니다. (http://www.gift-economy.com/)


이 개념을 처음 학문적으로 다루고 소개한 사람은 프랑스의 사회학자 내지 문화인류학자인 마르셀 모스(Marcel Mauss)라고 합니다. 1923년에 출판된 모스의 [증여론](L'Essai sur le don. Forme et raison de l'échange dans les sociétés archaïques)에서 북아메리카 원주민(소위 '인디언')이나 폴리네시아 군도를 비롯한 여러 '미개' 사회에서 보이는 특이한 선물(그냥 주는 것)의 경제시스템이 상세하게 다루어졌다고 합니다. (읽어보지는 못했습니다.)


법정 스님의 무소유론은 저 같은 속물에게는 아주 멀어보이는 얘기라면, 선물의 경제는 의외로 가까운 게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줄곧 학교에만 있어서인지, 아니면 본격적으로 '돈을 버는' 일을 제대로 해 본 적이 없어서인지, 어느 쪽인지는 몰라도 아직 저는 어떤 일을 할 때 '돈' 때문에 하는 것에 대해 미묘한 심리적 부담이 있습니다. 그렇다고 '돈 안 되는 일'을 열심히 하는 쪽은 아니죠. 결국 드러내지 않을 뿐이지, 어떤 일을 하는가 하지 않는가를 결정하는 데에는 그에 대한 '돈의 보답'이 결코 빠지지 않는, 아니 어쩌면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막연히 사회주의에 대한 동경도 가지고 있(었)고, 공동체주의 내지 코뮨주의에도 관심이 있(었)지만, 결국 거대한 교환경제 체제 안에서 살아가는 아주 작은 한 사람으로서 어쩔 수 없이 "돈을 벌어야 먹고 살 수 있는" 나약한 삶이 되어 있습니다. 심지어 공부를 하면서 새로운 것을 알아나가는 기쁨도, 다른 사람들에게 내가 아는 것을 가르쳐 주고 거기에서 되돌아오는 메아리를 통해 얻는 즐거움도, 결국 곰곰히 생각해 보면, '돈이 되지 않을 때' 즉 '먹고 사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 때'에도 여전히 기쁨과 즐거움이 되겠는가 확신이 없어지고 있습니다.


짧은 기간이었지만 이화여대에 적을 두고 공부를 하면서 젠더연구(페미니즘), 공간론, 문화연구, 탈식민주의 같은 것을 귀동냥하면서 많은 것을 배웠습니다. 그 중에 아주 솔깃했던 것이 바로 '선물의 경제'라는 개념이었죠. 아낌 없이 주기만 하는 것으로는 한계가 있지 않겠는가 싶은데, 실제로 많은 작은 공동체 사회에서 그렇게 선물로 주고받는 것을 통해 체제가 아름답게 유지되는 것을 보면, '선물의 경제'라는 시스템은 가능할 뿐 아니라 바람직한 것이 아니겠는가 싶습니다.


지난 번 녹색문명 공부모임에서 '작은 것이 가능하다'라는 발표를 놓친 것이 무척 아쉽고 속상한 일인데, 아마 그 '작은 것이 가능하다'라는 것, 내지 '작은 것이 아름답다'는 것도 '선물의 경제'와 연결될 수 있을 겁니다.


그리고 당연하게도 칼 폴라니의 [대전환](The Great Transformation)도 직접 연결될 겁니다. (4장 본문)


선물의 경제와 관련하여 기포드 핀쇼(Gifford Pinchot)라는 분의 글이 있습니다. 눈사람님이 관심을 보이실 것도 같은데, 루이스 멈포드, 그레고리 베이트슨, 루이스 하이드 같은 사람들을 인용하면서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환경의 문제'를 얘기하고 있습니다.

The Gift Economy: Not all economies are based on maximizing personal gain - some are founded on giving


이 글을 쓴 기포드 핀쇼는 미국의 산림학자(초대 산림청장) (1865–1946)와 동명이인이네요. 그 유명한 핀쇼는 환경보전의 문제를 둘러싼 논의에서 아주 중요한 인물로 거론되고 합니다.   (참고: "미국 환경사의 흐름" )


(오래 전에 녹색문명 공부모임에 이와 관련된 석사학위논문(기포드 핀쇼의 체계적 산림관리와 산림학의 전문직업화)을 쓴 이종민씨를 초청해서 강연을 들은 적도 있죠. 기억하시는 분 있으신지... ^^ )


쥬네비에브 보건(Genevieve Vaughan)이란 분이 쓴 For-Giving: A Feminist Criticism of Exchange이란 책이 있습니다.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교환경제 내지 시장경제를 비판하는 내용입니다. 저도 기회 되는 대로 조금씩 읽어보려고 하는데, 현실적으로는 너무 시간이 없긴 하네요. (링크를 클릭하면 책 내용을 모두 볼 수 있습니다.)


자급자족 프로젝트와 연결시켜서 언제든 한번 함께 얘기해 보면 좋으리란 생각을 해 보았습니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선물의 경제(학) [7] 自硏 自然 2011.08.03 11305
78 7월 12일 모임 [13] 自硏 自然 2011.07.12 11563
77 7월 14일 or 15일 온생명 공부모임및 6/24모임후기(날짜 미확정) [13] 박인구 2011.06.25 11183
76 다음 온생명론공부모임-6/23(목) !!! [19] 눈사람 2011.06.14 10071
75 6월 3일(금) 모임 "비랑의 '자아감'은 어떤 '순서'에 의해서 획득되는가?" "온생명의 주체됨" [18] 自硏 自然 2011.05.23 14133
74 2011-5-13 모임후기 [8] happysong 2011.05.19 9122
73 다음 모임은 5월 13일(금) 7시 반 대학로.. [6] 시인처럼 2011.05.08 10947
72 4월 29일 오후 7시 이음책방 [7] 自硏 自然 2011.04.27 9163
71 4월 15일 7시 이음책방 [8] 自硏 自然 2011.04.12 9332
70 온생명론 연구모임 이번엔 4월 9일(토) 12시 [6] 시인처럼 2011.04.06 11404
69 Mind in Life 10장 후기 [8] happysong 2011.03.16 10259
68 Mind in Life 13차 후기 [11] happysong 2011.03.05 8943
67 2월 마지막 모임 - 2/25(금) 이음책방 [7] 눈사람 2011.02.19 10940
66 이번주 온생명론모임-2/17(목) [3] 눈사람 2011.02.15 10677
65 Mind in life 12차 후기 [2] happysong 2011.01.31 11158
64 온생명론공부모임(1/21/금) - 장소? [12] 눈사람 2011.01.18 10600
63 생명 속의 마음 열한번째 모임 후기 happysong 2011.01.10 12700
62 생명 속의 마음 열 한 번째 모임 [9] 自然 2010.12.17 10672
61 온생명론 작은 토론회를 위하여 [5] 自然 2010.12.16 10323
60 Mind in Life 열 번째 모임 [6] 自然 2010.12.11 11170